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해
지장
훼방
방해물
장벽
고장
보크
뉴스
"
장애
"(으)로 총 3,1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해결된다면 언젠간 반드시 현실이 될 것이다. 또 뇌신호를 이용한 의사소통 기술은
장애
인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의 범위를 넘어 우리의 일상생활의 모습도 변모시키는 새로운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
평소 겁 많고 불안하다면, ‘이것’ 때문일 거에요
2015.01.20
Pixabay 제공 놀이공원에 가면 어떤 사람은 롤러코스터를 마음껏 즐기는 반면 어떤 사람은 겁이 나 전혀 타지 못한다. 보 리 미국 콜드 ... 결과는 뇌에서 불안
장애
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결과”라며 “불안
장애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살 빼는 데는 땅콩껍질이 좋대요~
2015.01.19
결과 쥐의 체중이 16% 감소한 사실을 알아냈다. 또 전체 지방량도 31% 감소하고 지방간
장애
도 15% 정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루테올린은 땅콩 껍질 뿐 아니라 과일과 파슬리, 샐러리 등에 많이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으로 항암과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 ...
‘꿀잠’이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한다
2015.01.16
김영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은 “아직 스마트폰 사용으로 생긴 수면
장애
가 치매에 영향을 미쳤다는 보고는 없다”면서도 “스마트폰 사용이 뇌파를 비롯한 뇌 활성에 영향을 주는 만큼 베타 아밀로이드의 침착 등 뇌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을 자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
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13
교통사고, 질병 등으로 팔 다리가 절단됐거나, 혹은 신경이 죽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장애
인도 적지 않다. 로봇기술은 잃어버린 팔 다리의 기능을 완벽하게 대신할 수 있는 의족이나 의수 개발에 기여해 왔다. 최근에는 아예 사람의 신경과 연결해 움직일 수 있는 착용형 로봇 팔 다리도 ... ...
새해 목표 1위 ‘금연’ 과학적으로 성공하려면
2015.01.13
인상에 따라 금연 열풍이 불고 있지만 금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금단현상’이라는
장애
물을 넘어야 한다. 금연 시도자의 65%가 1주일 안에 다시 담배를 입에 물게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금단현상을 막기 위해 각종 약과 니코틴 패치 같은 금연보조제 등도 팔리고 있지만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고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쓰면 앞을 볼 수 있는 세상이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인공눈 기술이 ‘시각
장애
인 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도움말: 서종모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callme@snu.ac.kr) ... ...
김은준 교수 ‘올해의 KAIST인 상’ 수상
2015.01.05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해 ‘네이처’에 발표했으며, 2011년에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가 시냅스 단백질인 ‘GIT1’이 부족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히는 등 뇌질환에 대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았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을 맡고 있는 김 교수는 “연구결과가 발표될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
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4.12.30
※편집자 주 인간과 기계가 하나가 되는 세상. 로봇공학과 생체공학이 하나가 되는 세상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습니다. 사고로 팔 다리를 잃은 사 ... 인공와우 등 차세대 인공와우 기술을 선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 기술이 전 세계 청각
장애
인들의 재활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 ...
뇌경색 미리 알 수 있는 ‘위험 지도’ 나왔다
2014.12.30
배포할 계획이다. 김동억 한국인 뇌MR영상 데이터센터장은 “뇌경색은 사망률과
장애
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한국인 허혈 뇌지도가 국내 병의원에서 많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뇌졸중학회 학술지인 ‘스트로크’ 12월호에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