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물러날 곳이 없다. 굳게 마음을 먹고 학원에 가기 위해 버스 정류장으로 향하는 길. 그런데 그 길에는 PC방이 7개나 있다. 나는 PC방의 유혹을 뿌리칠 수 있을까. 도파민 경로 소멸이 곧 중독 치료 어떤 행동을 하는지에 따라 뇌에서 도파민이 전달되는 경로가 다르다. 예를 들어 게임을 할 때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바이오중유 발전을 하고 있다”며 “이는 제주시 전기 공급량의 8%를 담당하는 수치인데, 2019년부터 나머지 중유 발전기(기력 2호기)도 바이오중유로 발전해 15%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용하는 연료를 통일하면 발전소를 운용하기가 그만큼 쉽기 때문이다. 중부발전 제주발전본부는 내연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NASA,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JAXA) 등 정부 기관이 달에 궤도선이나 착륙선을 보내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최소 5000만 달러(약 560억 원) 이상이다. 요시다 교수는 “아이스페이스는 이론적으로 달 탐사 비용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며 “그간 우주는 특별한 사람, 특별한 장비가 있어야 탐사할 수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누리호) 사업 1단계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3단에 들어갈 7t급 엔진의 연소시험인데, 이에 대한 설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 일은 지금도 필자의 머릿속에 가장 고생했던 순간으로 생생히 각인돼 있다. 연소기와 터보펌프 시험설비 구축 당시에는 입사한지 얼마 안 돼 뭘 해야 할지도 잘 모르는 ... ...
- 안양 백영고 이정수 양 “문제는 배신하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말했다. 이어서 그는 “영재학교에 진학하면서 기숙사 생활 때문에 구독을 중단해야 했는데, 너무 아쉬웠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이 양은 서울대를 제외한 다른 대학의 의대 여러 곳에 지원할 계획이다. 이 양의 언니는 이미 의대에 18학번으로 입학했다. 이 양도 의대 진학이 확정되면 ‘자매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연구실도 많고, 연구 분야도 다양해서 어떤 연구를 하는지 다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재료한마당에서는 각 연구실마다 직접 어떤 연구를 하는지 쉽게 소개해주고 1, 2학년 학생들에게도 이후의 진로를 친절하게 알려준다. 하씨는 “연구뿐만 아니라 여러 기업에서도 취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열심히 했다고 연구를 잘 하는 건 아니에요. 연구를 하다보면 안 풀리는 게 무척 많은데, 그게 자연스러운 거니까 포기하지 않고 계속 하는 게 중요해요. ● SW 진로 로드맵, 인공지능 ... ...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매일 리만 가설만 생각하면서 22년을 보냈습니다. 리만 가설 풀리면 AI 비밀 밝히는 데 도전 “저한테 리만 가설을 푸는 영광이 주어진다면…, 그다음에는 뭘 할지 잘 모르겠어요. 제 전공이 수리논리학이니까 인공지능(AI)의 구조를 연구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기 교수는 리만 가설을 풀게 ... ...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제 우리는 태양계 바깥으로 나갈 예정입니다. 어마어마하게 멀리 왔지요? 그런데 이곳에서도 인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여기 어디에 ... 보낸 신호가 빛의 속도로 이동해도 미국항공우주국의 ‘심우주 통신망’에 도착하는 데에만 6시간이 걸리는 어마어마하게 먼 거리랍니다 ... ...
- 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때문에 비행기가 부드럽고 안전하게 착륙해 조종사가 다칠 위험도 적답니다. 현재 킬데빌 언덕은 ‘비행의 성지’로 불리며, 라이트 형제 기념공원으로 변신했어요. 이곳에 가면 비행기가 이륙했던 언덕에 20m 크기의 기념비가 있고, 네 번의 비행 동안 착륙한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놓인 돌을 볼 수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