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걸 깨달았어요. 큐비즘도 큰 도움이 됐어요. 누군가를 따라하지 않아도 있는 그대로의 제
모습
이 아름답다는 걸 알려 줬죠. 요즘엔 여기저기서 절 찾는 과학자들이 많아서 바쁘답니다. 이제 곧 평면으로 만든 새로운 스마트폰을 만날 수 있을 거예요. 어때요? 아직도 제가 평면적으로만 보이나요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2021년부터 거대망원경 ‘GMT(Giant Magellan Telescope)’가 가동을 시작해요. 지난 호 특집 기사를 본 친구들이라면 이 망원경 제작에 우리나라가 참여했다는 걸 잘 알 거예요. 그 ... 소감을 밝혔어요. 우주광학센터에서 깎은 반사경들이 보여줄 새로운 지구와 우주의
모습
을 함께 기대해 봐요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HMD 화 면에 띄워준다. 피험자는 마치 제3자가 된 것처럼 연 구자와 자신이 이야기하는
모습
을 지켜보게 된다. 그 는 들은 이야기를 얼마나 기억했을까.피험자 129명은 그냥 이야기를 들었을 때보다 기 억력이 20% 가까이 떨어졌다. 기능성자기공명영상 (fMRI)을 촬영해보니 해마 뒷부분의 활성도가 떨어 ... ...
인간과 로봇의 꿈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프랑켄슈타인’의 인조인간 ‘크리처’는 인간을 본 딴 괴물 같은 기계의
모습
을 하고있다. 하지만 그는 꽃과 소녀를 사랑하는 순수한 영혼을 지니고 있다. 인간이 로봇(기계)에게 느끼는 희망과 공포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사례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이런 역설적인 감정을 ‘로보틱 아트’라는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노처럼 저었다. 해양공학수조에서 이뤄진 실험에서였다. 700kg에 달하는 몸을 밀어내는
모습
에 연구팀이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모드 전환은 아직 어렵다. 크랩스터는 부력 탓에 수중 무게가 200kg으로 줄어드는데, 헤엄칠 때는 이의 4분의 1인 50kg 이하로 줄여야 한다.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다룬 ‘프로젝트 시리아’는 시청자들을 테러현장 한복판으로 데려간다. 테러현장의
모습
과 당시 사람들의 움직임을 가상현실로 만든 다음, 여기에 당시 찍었던 영상과 소리를 입혔다. 가상과 현실을 섞은 것이다.체험자는 기존 뉴스를 볼 때보다 감정적으로 훨씬 몰입해 사건을 경험하게 된다. ... ...
손에 잡히는 초현실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작가는 ‘생명애’를 작품에 꾸밈없이 담아냈다. 낯선
모습
의 동물들이 당장이라도 살아 움직일 것 같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건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 ...
물고기 떼 한 입에 호로록~ 고래, 비결이 뭐니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대왕고래는 둘 다 거대한 몸집을 자랑하지만 음식을 먹는
모습
은 사뭇 다르다. 코끼리는 풀을 입에 넣고 야금야금 씹는 반면 대왕고래는 한 번에 거대한 물고기 떼를 ‘호로록’ 삼켜 버린다. 비결은 턱 밑을 불룩한 주머니 모양으로 부풀릴 수 있는 신경이다.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연구팀은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부터 채층까지가 갑작스럽게 밝아지는 현상이다. 사진이나 영상을 보면 반짝반짝 빛나는
모습
으로 보인다. 태양분출현상과 직접 관계가 있지는 않지만, 분출현상이 일어날 때 그 아래(태양 표면 근처)에서 같이 일어날 때가 많다(둘 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래 동영상 참조). 태양 가시광선에서는 잘 ... ...
살아있는 과학지식 얻는 덴, 과학동아가 최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교장과 임 교사는 답답한 교육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만의 답을 찾고 있다. 참스승의
모습
을 보여준 두 사람은 청소년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가 뭐냐는 우문에 이런 현답을 내놨다. “교육에서는 주어진 문제를 푸는 것보다 살아있는 지식으로 고민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 살아있는 과학지식을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