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곧바로 아랍에미리트에 가서 명문 칼리파과학기술연구대 원자력공학과 초빙교수로
활동
하며 한국형 표준원전의 우수함을 전수하던 젊은 학자는 의외로 원전의 활로를 발전소와는 다른 곳에서 찾고 있었다. 바로 소형화와 동력원이다.소형화는 원전의 미래에서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다. 작고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할 수도 있어. 글 못쓰는 이과 학생이 할 수 없는 뭔가 다른 것을 찾아보렴.”신문반
활동
은 기사가 기록으로 남기 때문에 나중에 자기소개서를 쓰거나 첨부할 때도 매우 좋은 자료가 된다.“자신감을 가져. 완벽할 필요 없어. 공부를 즐겨. 완벽하게 공부하려고 하기보다 즐겨. 실패를 두려워하지 ... ...
해바라기! 지구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에너지도 절약되니 일석이조에요.”인연수 학생은 원래 꿈이 의사였지만 해바라기
활동
을 통해 느낀 점이 있어 지금은 에너지 관리 공단에서 일하고 싶다고 한다. 박수진 학생은 예전에는 단순히 경영학을 공부하고 싶었지만 지금은 기업의 그린(Green) 경영과 친환경 상품 기획이라는 구체적인 꿈이 ... ...
사람의 스토리로 공감대 만들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의견도 교환하는 적극적인
활동
을 기대해 봅다. 과학동아 전문기자들이 간단한 코멘트
활동
을 적극 전개할 계획입니다. 뜨거운 관심 고맙습니다.※ 기사 전문은 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 ...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우주인들이라도 출신 국가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 입맛에 맞는 우주 식량이 필요하죠.
활동
공간이 적은 우주에서는 소화가 잘 되고, 칼슘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어야 해요. 무중력환경에서는 뼈의 단단한 정도를 뜻하는 골밀도가 1년에 10% 이상 감소하며, 근육의 단백질이 20% 정도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루크 제럼이라고 해요. 전세계 25개가 넘는 도시에서 다양한 예술 작품을 만들면서
활동
하고 있답니다. 제가 만든 바이러스들 정말 예쁘죠? 더 놀라운 건 이 바이러스들은 실물과 거의 똑같다는 사실이에요. 제가 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들을 직접 보면서 그린 그림을 가지고 만들었거든요. ... ...
“화학실험도 하고 나눔의 기쁨도 배워요”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주어진 재료를 가지고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도 달걀이 깨지지 않게 하는 장치를 만드는
활동
도 있다. 장치를 만든 뒤에는 2.5m 높이에서 직접 달걀을 떨어뜨려 성공여부를 겨룬다.화학캠프의 또 다른 특징은 나눔이다. 단순히 화학을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구촌 이웃들에게 나눔을 실천할 수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제 몸을 챙기기보다 주변사람을 챙긴다. 이들은 패닉 상황에서도 죽음을 무릅쓰고 구난
활동
에 참여하며, 우왕좌왕하는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이끈다. 이들은 재난이 닥쳐와도 패닉반응을 보이지 않고 비교적 침착함을 유지한다.물론 영웅형도 재난 앞에서는 스트레스와 패닉을 경험한다. 단지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흡수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머리 표면에 생체 투과성이 높은 근적외선을 쪼여주면 뇌
활동
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이 달라진다. 2009년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음료수 중 좋아하는 것을 알아내는 실험에 성공했다. 근적외선분광은 fMRI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뇌파에 비해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 있다. 대학 부설 영재원은 입학이 쉽지 않은데, 교육청이나 과학고 영재원의 경험과
활동
이 중요하다. 서울대는 과학 분야 80명, 연세대는 수학·과학 분야 80명, 서울교대는 수학·과학·정보 분야 120명을 선발해 가르친다. 고등학교 과정에서 영재교육은 영재학교나 과학고가 맡고 있다. 여기에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