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8,041건 검색되었습니다.
내시경으로 빛 쬐어 당뇨·비만 개선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광역동치료(PDT)'로 비만과 당뇨병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동물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로 인체 적용을 위한 추가 연구들이 진행될 예정이다. 세브란스병원은 정문재 소화기내과 교수, 구철룡 내분비내과 교수, 나건 가톨릭대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교수, ... ...
만성염증 원리 찾는 생체칩 개발…동물실험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이동한 면역세포의 수, 이동거리, 시간 등을 분석해 환자의 염증 반응 정도를 분석하는
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또 "동물실험을 대체해 신약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등 새로운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 ...
원전 방사능 사고대응 로봇, 건설 현장에도 첫 투입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파이프를 절단하고 있는 원자력연의 고하중 양팔로봇 암스트롱. 원자력연 제공 원자력 로봇 기술이 건설 현장의 고위험 작업에 투입된다. 원자력 로봇 기술이 민간 건설 분 ... "앞으로도 첨단 원자력 기술을 타 산업 분야로 확산해 우리나라 기술 발전을 견인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 ...
연인과의 이별 슬픔 잊는 '뇌 메커니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도파민 분비가 사랑하는 사람과의 유대감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인과의 이별 후 쉽게 슬픔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사람은 일반적인 사람보다 도파민 분비 체계의 처리 속도가 느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가장 더웠던 2023년…올해는 더 달아오를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일시적인 기상변동인지 알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앤드류
데
슬러 미국 텍사스A&M대 연구원은 “지구의 기후에 이상이 생겼는지 알기 위해선 앞으로 몇 년 동안 관찰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
미국·일본도 쉽지 않은 달 착륙…2032년 '한국 달 착륙선'은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일각에선 무리한 목표를 잡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는
데
개발 과정에서 여러가지 불확실성을 제거하면 된다. 한국이 우주개발 사업에 뛰어들 지금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 ...
DNA·체액만으로 용의자 특정…과학수사의 진화
과학동아
l
2024.01.13
“아니 피가 섞인 침이 있더라고요!”라고 했다. 이 이야기가 무슨 뜻인지 이해하는
데
에는 시간이 조금 걸렸다. 그러니까 임 씨의 앞치마에서 발견된 체액흔 중 하나에 호 씨의 타액이 섞여 있었음이 밝혀진 것이었다. 호랑이 침이 떡 파는 이의 앞치마에서 ‘우연히’ 발견될 리 없다. 마지막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번주 표지로 유라시아 평야에 서있는 고대 묘지의 모습을 실었다. 과거 유라시아에서 살았던 유목민의 무덤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 ... 뿐만 아니라 당뇨병이나 조현병 등 현대인이 앓고 있는 질환의 유전적 뿌리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이 들수록 '행복감' 느끼는 이유
2024.01.13
같다. 타인의 시선이나 인정 없이도 순전히 내가 좋아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았어야 했는
데
그러지 못했다. 하지만 조금씩 나이가 들면서 재미란 별 게 아니며 누군가에게 인정을 받아야만 느낄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결과 어렸을 때 걱정했던 것과 달리 일상 생활에서도 ... ...
노년기 치아 교정, 당뇨병·골다공증 있을 땐 주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교정과 교수는 “치아를 교정하면 자연 치아를 오래 유지하고 잘 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바르게 배열된 치아는 젊고 건강해 보이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치아 교정이 불가능한 경우는 크게 두 가지다. 치주질환으로 잇몸뼈가 지나치게 망가져 있거나 교정해야 할 부위에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