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는 땅의 끝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듬뿍 머금은 구름이 최고 해발 4천m나 되는 파타고니아 안데스에 부딪친다.이 때문에
여름
에도 눈보라가 3주간이나 계속되는 수가 있는 것이다. 태평양 쪽의 빙하 옆에서 하늘을 바라보고 있으면 기상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어 마치 기상 교과서를 한장한장 넘기고 있는것 같다. 아득한 서쪽의 대양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수는 없으나 육질은 단백한 맛이 있는 게 특징이다. 미꾸라지는 이미 잘 알려진대로
여름
을 타는 사람들에게 강장식으로 적합하다.뱀장어에 비하면 지질과 비타민C의 함량이 적지만 철분은 8배, 칼슘은 4배나 되고 비타민 B₁, B₂도 풍부하다. 비타민A와 D도 풍부하다. 섭취시에 주의할 사항은 반드시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56~61㎝로 재두루미와 모습이 비숫한 해오라기는 지금까지 일본만이 번식지이며 한국엔
여름
철새로만 찾아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북녘땅 개풍군이 빤히 보이는 무인도 유도엔 해오라기 외에도 중대백로 황로쇠백로 재갈매기떼 수천마리가 떼지어 살아 섬전체(1.7㎢)가 온통 새로 이루어진 ... ...
쇠붙이 지녔다고 반드시 나쁜것 아니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여름
이 되면 낙뢰로 숨지는 사람이 많다. 인각의 피부는 1백볼트 정도의 전압에 대해서는 절연체가 되나 그 안쪽의조직은 전기가 통하기 쉬우며 머리에서 발바닥까지의 저항은 불과 3백 옴뿐이다. 낙뢰에 있어서는 절호의 통로인 셈이다. '가까이에서 번개가 칠 때는 몸에 지니고 있는 금속류를 ... ...
중앙기상대장 손 형 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갖는 날씨나 기후에 대해 미리 알고 싶은 심정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그래서 당장 금년
여름
의 장마와 무더위에 관해 물어보았다. "기상대에 있다 보니까 날씨전망에 관한 질문을 많이 받게 됩니다. 또 겨울이 따뜻해졌다, 오존층이 파괴된다, CO₂의 양이 변화한다느니해서 우려하는 말도 자주 ... ...
5천년 전에는 분명히 만났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7월7일은 칠석날이다.
여름
밤의 은하수의 양쪽에 갈라져있던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번 만나는 날이다. 이 전설은 오래전부터 전해져 오는 것이다.실제의 직녀성(거문고 자리의 베가별)과 견우성(독수리 자리의 알타이르별)은 16억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그리고 칠석날에 가까이 접근하여 데이트를 ... ...
매미, 그길고도 짧은 생애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있는 경막에서 소리를 듣고, 더우기 같은 종의 발음진동수에는 매우 민감하다. 올
여름
에도 어김없이 찾아와 낭랑한 울음소리를 들려줄 매미는 한번 울기 위해 얼마나 기다리는가? 매미일생의 특징은 어느곳에 사는것이든 어둠은 길고 밝음은 짧다는 점이다. 숫매미의 구혼가를 듣고 찾아온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태양은 중심부에서 3만광년(빛의 속도로 3만년 걸리는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여름
밤에 보는 은하수는 바로 이 은하계 원반의 한 단면이다. 18세기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암허셀'은 처음으로 태양이 은하계에 속하는 하나의 별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그는 태양이 은하계의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저녁밥을 함께 먹고 있다. 모퉁이 부근의 휴게실에는 나이 지긋한 남녀들이 '서울 1987년
여름
' 이라는 흘러간 영화를 보고 있다.고객유치에 신경쓰는 기업체로 휴양지의 풍경처럼 보이지만, 이곳은 사실 병원이다. 여기에서 사람들은 어머니의 배에서 밖으로 나온다. 병원에서는 사람들의 출생 ... ...
PART2 격렬하고 짧거나,평온하고 긴 두가지의 생존방식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태양의 수백배에 달하며 지구의 공전궤도에 필적하는 1억km 의 반경을 가진 것도 있다.
여름
밤 전갈자리에서 붉게 빛나는 '안타레스'는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적색거성의 예이다. 적색거성은 반경이 크기 때문에 평균밀도는 매우 낮다. 반면에 극히 고밀도의 중심핵은 체적으로는 전체의 1조분의 1에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