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북극에 다녀오신 건가요?2005년 7월 30일부터 8월 7일까지 북극 다산기지 하계 연구에
참여
하여 해양미생물을 연구하고 돌아왔습니다. 남극의 세종기지와 달리 다산기지는 노르웨이 정부가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그때 그때 연구목적에 따라 다산기지에 다녀온답니다. 따라서 남극과 같은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연구소에서 출발한 원정대가 일제히 남극점을 향해 출발하는 이 행사엔 한국도 당당히
참여
할 예정이다.“비록 18년의 역사밖에 안 됐지만 극지 연구에서 한국은 수준 높은 결과를 내놓고 있어요. 이미 50년전 극지 연구를 시작한 선진국들도 우리를 높게 평가하고 있답니다. 모두가 열악한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황 교수팀과 계속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세계줄기세포허브
참여
계획을 보류해둔 상태다.변함없는 황사마섀튼 교수가 지난해 이미 ‘네이처’에서 제기한 문제를 굳이 ‘재탕’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는 올해 5월 ‘네이처’에는 “어떤 연구원도 ... ...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나도선 이사장, 동아사이언스 김두희 대표이사 등 과학과 문학계 인사들이
참여
한 가운데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렸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은 ‘과학과 문학의 만남’을 도모하는 국내 유일의 과학기술문예 공모전이다.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 또 DNA가 어떻게 형태를 유지하고 다른 생명반응에
참여
하는지 이해하는 바탕이 됐다. 이 구조가 너무나 유명해 사람들은 DNA 하면 이중나선을 떠올린다. 실제로 DNA는 대부분 이중나선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다른 형태도 있다. 예를 들어 삼중나선(triplex), 사중나선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 혜성에 대한 옛 기록을 연구했고 지금은 천문연에서 지름 6.5m 천체망원경 개발에
참여
하고 있다.천문학자들이 대개 그렇듯 안 박사도 어린 시절부터 별 사랑이 남달랐다.“초등학교 5학년 때 월식을 보려고 집 밖으로 나왔어요. 그때만 해도 월식이 금방 끝나는줄 알았죠. 겨울이었는데 1시간이나 ... ...
최고 기록 극한의 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익스트림은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여러가지 묘기를 펼치는 익스트림 스포츠를 통해 많이 알려져 있다. 신세대들이 즐겨 X게임, 위험 또는 극한스포츠라고도 한다. 익스트림 스포 ... 천체과학교실과 같은 프로그램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일정을 알아두면 원하는 시간에
참여
할 수 있다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는 지금까지 진행된 어떤 외계행성 탐색계획보다 더 큰 규모이다. 현재 8개국 총 23명이
참여
하기로 결정됐다.가스덩어리에 붙여진 성(姓)행성은 별 탄생 초기에 별 주변에서 만들어진다. 별은 가스와 먼지가 뭉쳐 있는 성간구름에서 태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성간구름에서 물질이 뭉쳐서 몸집을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전문가)가 필요하다. 그 밖에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전문가, 확률·통계 전문가 등이
참여
한다. 전문가들이 모여 지식을 공유해야 실제 상황을 가장 잘 재연할 수 있기 때문에 협조는 필수적이다. 가상공간에서 갖춘 최신 무장미국도 연구팀의 기술을 인정했다. 이들은 용산 한미연합사령부에서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국가들만이
참여
했다. 그러나 1993년 우주개발에 풍부한 기술을 가지고 있던 러시아가
참여
하면서 활기를 띠게 된다. 국제우주정거장은 2010년에 완성될 예정이며 각 나라가 만든 부품들이 모두 결합되면 축구 경기장의 1.5배 크기에 450톤의 무게를 가진 거대한 모습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앞으로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