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유래한 것이다.이제 메인 요리로 국수를 준비하면 된다. 국수나무의 나무줄기를 잘라
가운데
하얀 부분을 같은 굵기의 나뭇가지나 철사로 밀어내면 국수자락처럼 무언가 밀려나온다. 실제로 나무껍질 안쪽을 구성하고 있는 심(pith)에 해당하는 것인데, 하얗고 길쭉하며 말랑말랑한 생김새가 마치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건설을 반대하고 갯벌이 보전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2000년 1월 30일 세워졌다. 갯벌 한
가운데
에는 게, 물고기, 배, 철새 모양의 나무조각들이 얹혀진 솟대 모양의 향나무가 줄줄이 서있었다. 갯벌 생명을 살리고자 하는 여러 종교·환경단체의 뜻이 담겨 있다.저녁식사를 마친 탐사팀은 한자리에 ... ...
손끝으로 느끼는 무게중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앉은 잠자리■ 왜 그럴까?!잠자리의 모양은 좌우대칭이다. 따라서 잠자리의 무게중심은
가운데
부분이다. 그런데 실제 잠자리는 꼬리에 비해 날개가 더 무겁기 때문에 무게중심은 앞쪽에 위치한다.실험에서 만든 잠자리의 앞날개에 종이를 덧붙이면 실제 잠자리처럼 앞쪽이 무거워진다. 따라서 종이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눈에 보이는 별은 2천여개로 그리 많지 않다. 온하늘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6천여개 별들
가운데
서 지평선 아래에 있는 것과 지평선 근처에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을 뺀 숫자다. 하늘이 밝은 도심에서라면 우리가 볼 수 있는 별은 1백개도 채 안된다.하지만 최첨단 망원경을 통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색 다른 이유눈의 색깔이 인종마다 다른 이유도 마찬가지다. 눈의 색깔은 눈동자의
가운데
부분인 동공을 둘러싸고 있는 홍채의 색깔에 따라 결정된다. 이 홍채의 색깔은 홍채 상피세포에 멜라닌색소가 얼마나 많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인종에 따라 홍채에 있는 멜라닌색소의 양이 다르다. 흑인 ... ...
김치 고유의 유산균 확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강사욱 교수팀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지현 박사팀은 김치에 포함된 3천종의 미생물
가운데
가장 우수한 종들로 밝혀진 2종의 유산균에 대해 이들의 전체 염기서열과 중요 유전자를 해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강 교수팀은 약 1백80만 염기쌍으로 구성돼 있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림 위쪽에 최고령 행성의 일부가 보이고 배경은 M4에 속한 많은 별들이 수놓고 있다.
가운데
아래쪽을 유심히 보면 이 행성이 돌고 있는 특이한 별 한쌍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물질을 양 극으로 뿜어내며 빠른 속도로 자전하고 있는 중성자별이고 나머지 하나는 백색왜성이다. 두 별 모두가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갖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런 이야기는 낯선 오지에서 쉽게 믿음으로 변했고, 이런
가운데
카리브족을 잘못 발음함으로써 카니발(cannibal), 즉 식인종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 카리브 해에서 중앙 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한 스페인 정복자들은 이미 카리브 인디안 부족들의 식인 풍습에 대한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나라로 갔다. 지하세계에서 오시리스의 주검은 방부처리돼 최초의 미라가 된다.죽은 자
가운데
최초로 신으로 부활한 오시리스는 저승의 왕이 돼 지하세계를 개혁했다. 오로지 왕들만이 사후에 신들의 왕국에서 부활하는 특전을 누렸으나 오시리스는 모든 사람에서 천국을 개방한 것이다.말하자면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선택한다.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물체에 자극을 받기 때문이다. 물론 살아있는 도롱뇽
가운데
상대적으로 덜 활발한 도롱뇽이 먹히는 빈도가 훨씬 높았다. 빠른 먹이는 놓치기 쉬우므로 둔한 먹이를 선호하는 것이다.그런데 이들은 같은 형제끼리는 잡아먹지 않는다. 어떻게 자신의 형제가 아닌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