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유도한다. 셋째로 어떤 암세포는 점액성 단백질(mucoprotein, sialomucin)을 자신의
표면
에 뒤집어 써 T세포의 가시권에서 벗어난다. 넷째로 이른바 방해 항체(blocking antibody)를 만들어 자신(암세포)에게 붙임으로써 면역시스템의 눈에 띄기 쉬운 염증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서 T세포가 자신을 발견하지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또한 광섬유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부도체이기 때문에 전기가 도체에 흐를때
표면
에서 발생하는 손실 현상이 없어진다.이러한 광섬유의 장점을 살리면 음성 데이터와 대용량 디지털 비디오 등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전송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펼칠 수 있다. 광통신이 미래에 가장 ... ...
문화재의 영생 과학으로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먼저 연구팀은 금동관의 구조와 현재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현미경과 X선을 이용한다.
표면
에 부착된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정밀 조사한 후 기록해야 하며,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은 문양이나 미세 구조를 X선 촬영장치를 통해 확인하고 분석한다.X선을 이용해 인체의 내부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 ...
달에 도착한 최초의 우주인 항아와 오강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오강이라는 연단술사, 그리고 우리의 영웅 두꺼비와 토끼가 아닌가 싶다. 우리는 달
표면
에 보이는 얼룩을 두고 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다고 말하곤 한다. 헌데 달에 사는 태초의 우주인에 얽힌 이야기를 아는 사람은 적으리라. 신화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 우주인과 대화해 보자.해의 실체는 세발 달린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용한 프린터의 해상도는 2백만DPI에 이른다.실제로 나노펜 프린터을 이용해 금
표면
에 문장을 썼다. 여기에 쓰인 문장은 잘 알려진 물리학자인 고 리처드 파인만이 1959년에 한 연설(1960년에 책으로 발표됨)의 한 부분이다. 이 연설 내용은 놀랍게도 파인만이 2000년대 나노과학기술의 눈부신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것으로0K=-273℃다) 정도에서 작동을 시킨다.윔프의 반응에 의한 미약한 에너지는 결정
표면
에 입혀진 초전도 물질을 순간적으로 보통 도체로 바꿔버린다. 그 순간에 도체의 저항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초전도 상태에서는 저항이 없다)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변화가 일어나고 이 전류변화는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볼 수 있다. 볼링공 정도의 크기라면 대기권에서 다 타버리지 않고 살아남은 알갱이가 지
표면
까지 떨어질 수 있다.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별똥별은 전지구적으로는 하루에 25만개 가량 떨어진다고 한다.유성체는 대기권 상층부 80-1백30km 상공에서 공기와 마찰로 타버리는데 이 현상은 지상 2백km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범위를 줄이는 것이었다. 이것은 높은 해상도를 얻는 문제와도 직결된다. SPM 탐침이
표면
을 훑고 지나가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우선 SPM 기판 위에 얇은 판 모양의 액체(물)를 펴고, 여기에 DNA와 RNA 폴리머라제를 넣는다. 그런 후 아연 이온을 추가해 움직임의 속도를 느리게 했다. 한편 DNA의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배워 어떤 이미지를 얻기는 무척 어렵다. 숭실대 강세종 교수는 SPM을 이용한 원자수준의
표면
윤곽을 얻기가 현재는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같은 시료를 두고 오늘 본 SPM 사진과 내일 본 SPM 영상이 다르다. 아니 매번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SPM의 탐침이 단지 원자 몇개로 구성돼 있어 ... ...
유리잔으로 물질 밀도 알아맞추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구모양이 된다. 그 이유는 기름 분자들끼리 잡아 당겨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려는 힘, 즉
표면
장력 때문이다.액체 탑으로 알아본 물질의 밀도왜 그럴까?!밀도가 다른 여러가지 액체를 밀도가 큰 순서부터 차례로 조심스럽게 한개의 유리잔에 부으면 액체 탑을 쌓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한 액체의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