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여름철
행하기
여름
실행
실시
하기시간
d라이브러리
"
하기
"(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랑말랑한 젤리가 위험하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크기도 컸다. 어린이용 젤리를 만드는 수칙1. 식도나 기도로 쉽게 넘어가는 것을 예방
하기
위해 지름(타원의 경우 긴 쪽 기준) 4.5㎝ 이하의 컵젤리는 수입·판매할 수 없다.2. 젤리 강도가 일정 기준(7N)을 넘지 않아야 한다(지름 4.5㎝이하는 7N 이하, 4.5㎝ 이상은 12N 미만).3. 미니컵젤리는“한 번에 드실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나와 발톱이 손과 발을 보호하는 거야. 또 손톱은 힘의 지지점이 되어 물건을 잡기 쉽게
하기
도 해. 어때, 나도 꽤 쓸모 있지? 밤엔 손톱을 깍으면 안돼?깎은 손톱·발톱을 나쁜 사람이 가지게 되면 병에 걸리는 주술을 걸어 손톱·발톱의 주인은 아프게 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대요. 그래서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콜라겐 구조체를 젤라틴화시키고 식물의 밀집한 탄수화물을 풀어지게 해 쉽게 흡수되게
하기
때문이다.식재료 스펙트럼 넓어져요리를 하게 됨으로써 인류가 먹을 수 있는 식재료의 스펙트럼이 넓어졌다는 점도 주목할 변화다. 즉 탄수화물이 풍부하지만 날로 먹기는 어려웠던 식물 뿌리나 덩이줄기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여부를 결정하는 평가기간 동안 최 교수는 가슴을 졸였다. 하지만 연구단을 시작
하기
전부터 쌓아뒀던 연구 성과와 앞으로의 가능성을 인정받아 2단계 창의연구단에 선정됐다.고비를 넘기자 연구 성과가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손상된 DNA를 회복시키는 새로운 단백질 구조와 기능을 속속 밝혀 2단계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보건복지부가 검토하고 있지만 진전은 없는 상태다.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가 신뢰를 회복
하기
위해 연구자들의 노력과 함께 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감해진 ‘네이처’, 소심해진 ‘사이언스’“최근 CNS 저널을 보면 거의 매주 줄기세포 논문 한두 편은 실려 있습니다.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궁금했다. 우주에 대한 책을 읽으며 언젠가 내 꿈을 이루리라 다짐했다. 당시 우주는 접근
하기
어려운 분야였기 때문에 꿈을 간직한 채 과학을 공부했고 의사가 됐다. 우주인을 선발한다는 공고를 봤을 때 ‘이건 운명’이라고 생각했다.우주인이 되기 전에 다양한 직업을 갖고 있었다는데.우주인이 ... ...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두 사람에게 사건을 설명한다. 2월 말 야심차게 문을 연 삼겹살집 ‘서영이네’. 홍보를
하기
위해 큰 맘 먹고 애드벌룬에 현수막을 달아 띄웠다. 그런데 3월 초 바람이 강하게 불던 날, 감쪽같이 현수막이 사라져 버렸단다. 근처에 떨어졌나 찾아보았지만 흔적도 찾을 수 없었다고.“믿을 수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물과 지구의 건강한 미래를 생각하며 사용량을 적절히줄여야겠죠? 무엇보다 물건을 생산
하기
전에 물건을 아껴 쓰고 오래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분리수거를 잘하자!나만의 환경 지키기 노하우는 분리수거입니다. 분리수거란 쓰레기를 종류별로 나누어서 버리고 그것을 거두어 ... ...
발 없는 소문 힘도 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생각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며 “이는 소문이 집단의 규범과 결속력을 강화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비슷한 연령의 동성상대에 대한 소문에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또 지위가 높은 사람에 대해서는 부정적 소문을, 친구에 대해서는 긍정적 ... ...
거북이 몸 뒤집는 비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높지도 않고 평편하지도 않은 거북은 다리와 목, 돔 모양의 등껍질을 모두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몸을 뒤집기 가장 힘들다. 도모코스 교수는 “거북의 기술을 모방해 로봇이 스스로 일어서거나 몸을 뒤집는 기술을 연구하는데 응용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