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성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기질
뉴스
"
특징
"(으)로 총 3,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식세포는 안 되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줄기세포
2014.12.24
이렇게 만든 줄기세포를 배반포에 주입했더니 둘이 잘 섞이는 등 완전만능줄기세포의
특징
이 나타났다. 다만 이 줄기세포는 생식세포로는 분화하지 않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됐다. 도 교수는 “오직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새로운 타입의 만능줄기세포를 처음으로 ... ...
동서양의 교두보 ‘보스포루스’에서 과학의 역사를 보다
2014.12.21
알 수 있는 ‘공룡백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공룡책이 단순히 공룡의 그림과 이름,
특징
정도를 비교하고 있던데 비해 이 책은 공룡의 탄생에서 소멸에 이르는 경이로운 모습을 비할 데 없이 자세하고 사실적으로 눈앞에 펼쳐 보인다. 공룡에 대해 흥미롭지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까지도 ... ...
24시간 실험실 개방… 이론-실무 겸비로 취업률 85.9% 1위
동아일보
l
2014.12.16
등 전공능력을 발휘해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작품을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것도
특징
이다. ○ 대기업이 선호하는 대학 코리아텍의 교수진은 국내외 산업체 및 연구소에서 3년 이상 근무 경력이 있는 박사학위 소지자만 채용한다. ‘교수 현장학기제’를 통해 3년마다 한 학기씩 산업현장에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메탄올이 약간 들어있기 마련이다(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인 술에서 둘 사이의 물리화학적
특징
을 띠는 메탄올을 제거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증류주의 경우 증류 조건을 잘못 맞추면 메탄올의 상대적인 농도가 더 높아질 수도 있다. 아무튼 술을 마시면 메탄올도 에탄올처럼 먼저 ... ...
밀레가 ‘모나리자’를 그렸다면 어떤 모습일까?
2014.12.15
사실주의 화풍. - KAIST 제공 손 교수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미술 작품의 정량적인
특징
을 분석한 결과 정성적인 미술사 연구 결과와도 일맥상통한다 점을 발견했다”며 “빅데이터 분석이 대규모 연구가 어려운 예술분야에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 ...
앵무새 뇌에는 노래 유전자가 3개
2014.12.14
특성이 어떤 유전자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지 알 수 있다. 한국 연구진은 새의 여러
특징
중에서 앵무새의 언어학습 능력을 관장하는 유전자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언어 학습 기능이 없는 새들과 비교해 앵무새의 뇌에 있는 ‘노래핵’에 있는 유전자 3개가 소리를 기억하고 흉내 내는 발성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대해 교육 과정 개정 추진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재검토를 요구했다. 이번 교육과정의
특징
은 문·이과 구분 없이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배우는 것이며, 현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18학년도부터 도입되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적용된다. 과학기술 ... ...
[세종대학교]미래기술분야 선도할 성과 속속… 이공계 명문大로 도약
동아일보
l
2014.12.12
최소화하기 위해 통계적 보정기술을 개발해 고품질의 가뭄전망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
이다. 배 교수의 ‘가뭄전망정보 생산기술 개발 및 제공 시스템 구축’은 올해 미래창조과학부의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으로도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시스템 개발은 한반도뿐 아니라 동아시아 ... ...
자살 충동 일으키는 뇌, 어디가 문제일까
2014.12.09
환자들 대부분이 10대에 처음 자살 시도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뇌의 어떤
특징
이 자살 충동과 관련이 있는지 정확히 알고 그에 맞는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블룸 교수팀은 조울증을 앓고 있는 14~25세의 환자 68명과 같은 나이대의 건강한 참가자 45명을 대상으로 ... ...
정부 출연연 ‘융합연구단’ 2개 첫 출범
2014.12.08
밝혔다. 서로 다른 출연연 소속 연구원들이 한 공간에 모여 연구를 한다는 점이
특징
이다. 첫 번째 연구단은 싱크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도시 지하매설물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연구단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둥지를 트는 이 연구단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