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통해 이뤄질 것이다. 그러므로 성이 유전자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먼저 살펴
보자
.성은 1차적으로 정소나 난소와 같은 생식소에 의해, 2차적으로는 생식소에서 나온 호르몬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정소에서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나와 부정소, 정관, 부속선(정낭, 전립선, 쿠퍼선), 음경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여름철 밤하늘에 굽이굽이 흘러가는 은하수를 따라가다 보면 남쪽에서 커다란 S자 모양(또는 큰 낚싯바늘 모양)을 한 별자리를 발견할 수 있다. ... 전갈자리의 안타레스 근처를 살피면서 최고령 행성이 살고 있는 별무리 M4를 찾아
보자
. M4는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니 도전해볼 만하다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필요한 열량이다.예를 들어 20℃의 물을 마신 사람이 37℃의 땀을 배출했다고 가정해
보자
. 만일 땀이 전혀 증발하지 않고 그냥 흘러내린다면 1g당 17cal의 열이 나갈 뿐이다. 반면 땀이 모두 증발한다면 6백cal 정도를 빼앗아가므로 냉각효과가 30배 이상 크다. 이를 잘 보여주는 실험이 있다.프랑스의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고양이의 동공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떠올려
보자
. 동그랗지 않고 길쭉하다. 동그란 모양보다는 길쭉한 모양이 크기를 변화시키는데 훨씬 효율적이다. 따라서 동공 자체가 수직으로 긴 모양이다.환경따라 진화한 눈하지만 야행성 동물 모두가 주간시력보다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곳이기도 하다. 자연이 인간에게 들려주는 소리에 귀기울이는 소리사냥꾼을 따라가
보자
.생명력 담겨있는 소리의 향연2001년 가을 개봉된 한국영화‘봄날은 간다’는 생소한 직업을 가진 주인공을 등장시킨다. 상우(유지태 분)의 직업은 음향 엔지니어(sound engineer)로 은수(이영애 분)와 함께 강원도로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다 덮는데 걸리는 시간은 10개월이나 된다.지구 반지름이 6천3백70km라는 사실을 상기해
보자
. 지구 주위의 대기는 종잇장처럼 덮여 있을 뿐이고 지구 밖은 광막한 진공이다. 우주는 진공의 바다에 별들이 점점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한편 별과 별 사이, 그리고 은하와 은하 사이는 거의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을까.지난해 4월 허블우주망원경에 새롭게 장착된 첨단관측카메라(ACS)로 찍은 사진을
보자
. 사진의 주인공은 시뻘건 핏빛의 바다에서 머리를 치켜든 괴물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런 괴물이 꿈에 나타난다면 누구나 영락없이 악몽에 시달릴 것 같다. 어찌 보면 누군가 목을 베어 머리가 없는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산개성단이다. 올여름 야외로 캠핑을 나가면 남쪽하늘 은하수에 묻혀있는 이 보석을 찾아
보자
.이달의 밤하늘에 어떤 일이? 7월 새벽녘 가장 밝아지는 ‘이상한 별’7월 새벽녘 고래자리가 떠오르면 옛날사람들이 이상한 별로 간주했던 미라를 볼 수 있다. 미라는 밝기가 변하는 별이다. 옛날사람들은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내는 서브우퍼가 있다. 거대한 행성이 폭발하는 장면이나 탱크가 지나가는 장면을 상상해
보자
. 이때 낮지만 크게 울리는 소리가 들리는데 바로 이것이 서브우퍼의 효과다. 저음은 고음에 비해 파장이 길어 비교적 멀리까지 나간다. 따라서 앞쪽에만 서브우퍼가 있어도 저음은 객석 뒤쪽에 앉은 ... ...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필자의 생체조직 재생연구실에서 개발한 인공피부 기술을 중심으로 좀더 자세히 살펴
보자
.최소 조직에서 최대한 분리해야인공피부의 표피를 표피줄기세포로부터 만드는 방법을 실용화하는 핵심은 표피줄기세포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하는 문제다. 표피줄기세포는 20층 이상 계층화된 표피의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