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서쪽으로 다소 이동한 것. 이 때문에 중태평양의 덥고 습한 공기가 한반도 서남쪽
방향
에서 불어 들어왔다.한편 기상청은 “1월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계속 받아 추운 날이 계속됐지만 2월에는 북쪽으로 물러나고 대신 중앙태평양 엘니뇨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때문이다.그렇다면 암흑물질 우주선은 어떻게 작동될까. 류 씨는 우주선이 진행하는
방향
으로 문이 열려 있는 상자 모양의 엔진을 상상했다. 이 문으로 암흑물질이 들어오면 문을 닫는다. 그런 다음 암흑물질을 압축시켜 암흑물질이 서로 만나 소멸되게 한다. 일단 소멸이 시작되면 반대쪽 문을 열어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통 속의 액체를 걸러서 종이를 뜬다.한지는 전통방식인 외발로 뜨는데 물을 가로, 세로
방향
으로 번갈아 흘려보내 우물정(井)자 모양으로 종이결을 얽히게 만든다. 특히 두 장의 습지를 하나로 합쳐 합지를 만들기 때문에 종이가 더욱 질기고 강해진다.이렇게 해서 대나무발 위에 물기가 남아 있는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서로 다른 도형이지만 전개도의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서로 같아. 직사각형 세로변의
방향
만 다르지. 한 번 꼬아 붙인 뫼비우스 띠의 테두리 개수는 1개야. 그에 따라 면의 개수도 1개지. 그래서 앞면과 뒷면의 구분이 없어진 거야. 뫼비우스 띠의 면이 하나라는 것은 각각의 띠에 색을 입혀 보면 쉽게 ... ...
한 꺼풀 벗긴 메디컬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보이도록 만들었다.2장의 그림을 편집해 ‘렌티큘러 렌즈’에 붙이면 좌우에서 보는
방향
에 따라 나타나는 이미지가 다르다. 정면으로 향한 몸에는 심장과 여기서 뻗어나가는 동맥을 그려 넣었다.몸속에서 살아 숨 쉬는 명화우리 몸속에 클림트의 사과나무가 자라고, 모네의 석양이 드리워져 있다는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1:2:4의 독특한 조합을 하고 있다(공명 공전). 한편 정규위성은 달이 늘 지구에게 같은
방향
만 보여주는 것과 같은 동주기 자전을 하고 있는데, 이는 목성의 중력에 의해 위성의 내부에 중력 불균형이 생겨 위성의 무거운 쪽이 항상 목성을 바라보도록 공전과 자전 주기가 맞춰졌기 때문이다.유로파에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따라가는 과학관이 돼야 한다는 뜻이다.“과학관은 미래를 보여주고 상상을 키워주는
방향
으로 발전해야 합니다. 시대에 맞는 온라인 과학관도 고려 중입니다. 입시 위주 교육에 젖어 있는 청소년이 과학관에서 좋은 콘텐츠를 접해 미래에 한국의 빌 게이츠가 되면 좋겠습니다.” 인터뷰를 마치고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피해가 예상될 때는 주민들을 최대한 빨리 대피시키는 비구조적인 대응책으로
방향
이 바뀌고 있습니다.”최근 하천에 관련된 토목공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스마트 리버에 주목하는 이유다. ‘스마트 리버(smart river)’란 직역하면 ‘똑똑한 하천’이다. 물이 흘러가는 길인 하천이 생물도 아닌데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위험한 일인 듯했다. 한참을 헤매던 원주민은 수시로 차에서 내려 타이어
방향
과 발자국
방향
을 확인했다.4~5시간을 헤매다 다시 마을로 돌아왔을 땐 감정이 북받쳐 올라 눈물까지 흘러 내렸다. 원주민이 친절하게 안내해준 숙소에 침낭을 덮고 누웠다. 며칠간 밖에서 지낸 탓일까. 집안이 낯설게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발목 각도를 바꿔보고, 모터의 힘과 동작 속도도 바꿔봤다. 다리가 뛰어 오르는 높이,
방향
등 모든 것을 꼼꼼히 기록했다.이 과정에서 한 가지 문제점을 발견했다. 로봇의 발이 계속해서 뛰어오르다 보니 지면과 부딪치며 전해져 오는 충격이 적지 않았다. 심할 때는 자기 무게의 3배에 달했다. 이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