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연구원이라고 해. 천연기념물을 지키기 위해서는 먼저 어떠한 것들이 천연기념물인지
정확
하게 알아야 해. 많은 친구들이 수리부엉이나 학 같은 동물이 천연기념물이라는 사실은 잘 알고 있지만, 특정 지역도 천연기념물이라는 건 모르고 있는 것 같아.예를 들어 볼게. 제주도에는 진기하고 희귀한 ... ...
100년 전 퉁구스카에선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원자폭탄의 1000배가 넘는 규모였다고 해요. 하지만 왜 이런 엄청난 일이 일어났는지
정확
하게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답니다. 그래서 미스터리로 불리고 있지요.그래도 뭔가 추측되는 거라도 있지 않나요? 예를 들어 흔히 소행성 충돌이라던가….맞아요.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고 있는데 그 중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더 쉽게 예측할 수 있고, 변화에 따른 대응도 즉각 할 수 있게 되는 거야.또한 앞으로 더
정확
하게 우리나라 날씨를 예보할 수 있게 돼. 그 동안 날씨를 제대로 예측할 수 없었던 이유가 바다에서 기상을 관측하는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 있지 않아서이기도 했어. 왜냐 하면 바다에서 생겨나는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➋ 음각틀에 석고를 채운다. 특수분장용 마스크를 만들 때는 배우의 얼굴을 그대로
정확
하게 본을 뜨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➌ 음각틀을 떼어 내면 양각틀이 나온다. 이 양각틀은 배우의 실제 얼굴이 그대로 나타난 입체적인 상이다.2단계 캐릭터 얼굴 만들기 ➊ 양각틀 위에 유성찰흙을 붙여서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하면, 런던에 있는 패션기술회사인 바디메트릭스는 스캐너로 고객의 신체 사이즈를
정확
히 측정해 런던, 파리 등 주요 백화점에서 자신의 몸에 꼭 맞는 청바지를 제작해 100만 원 정도의 고가에 팔고 있다. 다만 이들 시도는 아직 3차원 그래픽스가 아닌 텍스트 기반의 서비스에 머물고 있다.고객 ... ...
[화학] 반응속도와 평형 이동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속도론적인 관점에서 단순화한 식입니다. 1)과 2)는 마이클리스-멘텐 식의 유도 과정을
정확
하게 이해하고 수식의 의미를 추론해 내는 문제입니다.화학반응은 반응속도론적인 관점과 열역학적인 관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열역학적으로 가능한 반응은 깁스자유에너지 변화가 음수값을 가질 때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역시 발생 시점을
정확
히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지진과 달리 움직이는 방향을 상당히
정확
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은 여유 있게 대처할 수 있다. 그러면 태풍은 어떻게 감시할까? 허리케인 헌터미국은 허리케인 관측용 비행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 비행기는 흔히‘허리케인 헌터’로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❺ 사고 위치 측정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성항법장치(GPS)로 사고 지점의 좌표를 측정한다.
정확
한 위치 정보를 얻어야 어느 지점에서 사고가 많이 나는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❻ 지리정보체계(GIS) 입력측정된 위치 정보와 현장조사표의 자료를 지형, 지리 정보와 함께 입력한다. 이 자료는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자기충족적 예언’이라고 부른다.동성애자와 최고경영자에 대한 첫인상 판단의
정확
성이 실제 판단 능력에서 오는 것인지 아니면 자기충족적 예언 때문인지 가려내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첫인상이 상대방에 대한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저명한 사회심리학자인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일하던 일본인 오까다 박사가 이 실험을 주도했는데 논문에는 결정성장의 비밀을
정확
하게 쓰지 않았던 것. 최 교수는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로돕신 결정을 만드는 연구를 계속했다. 남이 이미 해놓은 일에 왜 이렇게 매달렸을까?“오까다 박사가 밝힌 로돕신 구조는 빛이 없을 때 시각세포 막에 있는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