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예린이는 공룡과 지니가 김연아 선수처럼 손을 들고 뱅그르르 도는 동작을 찍기로
결정
! ➌ 장면 찍기 동작에 맞춰 캐릭터를 조금씩 움직이며 계속 사진을 찍는다. 현서와 예린이는 5초 분량의 애니메이션을 위해 30장이나 사진을 찍었다. ➍ 소리 녹음하기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맞게 소리를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자연세계를 이해하는 데 수학이 이용되면서 결과에 많은 사람이 주목하고 있어. 정책을
결정
하는 데도 이미 많은 수학 모델이 쓰이고 있지. 이처럼 수리생물학은 수학과 생물학, 컴퓨터공학, 물리학 등을 연결해 세상을 보는 새로운 창이 되고 있어. 앞으로 수리생물학의 영향력은 커져만 갈 거야.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에 임용된 조지 스무트 교수는 우주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결정
적인 근거가 되는 ‘우주배경복사’의 온도 차를 측정한 공로로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습니다. 수리학자 아버지를 둔 스무트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한 뒤 미국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인도에 침범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인도의 높이는 경계석의 높이에 따라 자연스레
결정
된다. 흔히 ‘도로턱’이라고 불리는 경계석은 높이 20~30cm, 길이 1m짜리 화강암이나 콘크리트로 만든다. 경계석을 설치할 때 땅에 5cm를 묻기 때문에 바깥으로 보이는 경계석의 높이는 15~25cm다.경계석의 높이는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열린 유럽수학회에 지원을 요청하러 간 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회 장소를
결정
하는 국제수학연맹의 비공식적인 입장은 ‘absolutely impossible’(절대로 불가능하다)이었죠. 그런 상태에서 시작한 일이었습니다.”그러나 박 교수는 그런 상황으로 인해 좌절하기는커녕 오히려 투지가 불타올랐다고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미생물이 번식하고 있는데, 염도가 높아지면 소금 속에 미네랄을 뱉어 놓고 죽는다. “
결정
지에 가둬놓은 물이 미끌미끌한 이유는 미생물들이 짠물에서 견디기 위해 글리세롤이라는 특별한 성분을 만들기 때문”이라던 소금장인의 말이 문득 떠올랐다. 증도의 태평염전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뛰어들었다.하지만 캡슐형 내시경에도 문제는 있다는 게 과학계의 진단이다. 가장
결정
적인 흠은 렌즈를 의료진이 원하는 특정 부위를 향해 들이댈 수 없다는 점이다. 자체 동력 없이 내장의 운동에 따라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의 한계 때문이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무엇이 반응속도를
결정
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반응속도는 농도와 관계없이 온도에 따라 변하는 값이다.반응차수는 물질의 농도 변화에 따라 반응속도가 얼마나 민감하게 변하는지를 의미한다.전체반응속도는 반응 메커니즘의 속도
결정
단계(반응이 매우 느린 단계)에서
결정
된다. ...
War between GOOGLE vs. MS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못한다고 암시한다. MS는 심지어 빙이 ‘검색엔진’이 아니라고까지 말한다. 빙은 ‘의사
결정
엔진’이라는 것이다.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빙은 구글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듯 보인다. 키워드를 입력하면 웹 검색 결과가 출력된다. 하지만 마케팅 결과 빙은 점차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수 있도록 조절한다.X선이 물체를 통과할지, 흡수될지는 물체 내부의 질량과 밀도에 의해
결정
된다. 피부, 장기처럼 밀도가 낮은 조직은 쉽게 투과해 필름에서 검게 보이는 반면, 뼈처럼 밀도가 높은 부분은 투과하지 못하고 하얗게 표현된다.주의할 점은 X선이 너무 세면 밀도와 관계없이 모두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