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셀프 디자인도 AI와 함께!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옷이 중국 국제 패션 디자인 혁신 대회에 나가 2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심사위원 중 일부는 AI가 디자인한 옷이 세계적인 패션쇼에 나갈만한 수준이라고 칭찬하는 동시에 AI가 아직은 디자이너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을 거라는 의견을 남겼죠. AI가 만드는 패션의 미래미국의 데이터 콘텐츠 ... ...
- [진로체험] 잘나가는 엔지니어에서 법의 수호자로! 박의준 보리움법률사무소 변호사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하거든요. 그래서 미국 변호사들은 대부분 공학 학위를 가지고 있지만, 국내 변호사 중에는 학위를 가진 사람이 많지 않아요. 제가 가진 공학 지식을 활용하면 특허 분야에서 인정받는 변호사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곧장 로스쿨에 입학했죠. 전혀 다른 분야로 진로를 바꿨을 때 어려운 점은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도움으로 태양 폭풍을 연구한 천문학자들은 지금까지 7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중에는 특정 시기에 발생한 태양 폭풍을 면밀하게 분석한 논문도 있고, 시민천문학자와 천문학자, 그리고 인공지능이 각자 그린 태양 폭풍의 경계선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따져본 논문도 있습니다. 태양 폭풍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음료 하나와 화장품, 컵라면을 골라 들었어요. 이후 매장을 나오기 전 선택한 상품 중 컵라면은 제자리에 두었지요. 총 두 개의 상품을 들고 출구 앞에 서자 문이 저절로 열렸고, 가게 밖으로 나왔어요. 순간, ‘계산도 안 하고 가게를 나왔다고 생각하면 어쩌지’ 하는 걱정이 들 정도였지요. 앱을 ... ...
- [과학뉴스] “음식이 상했어!”라고 알려주는 스티커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오동엽 박사는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발명품을 직접 만나볼 수 있도록 상용화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코로나19 이후 식품 배송시장이 커지고 있는데, 국민이 안심하고 먹거리를 드실 수 있도록 더욱 연구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답니다. 용어정리*콜드체인 : 식품을 낮은 온도로 유지해 ... ...
- [시사과학] 코로나19 어린이 브리핑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질환이 있으면 위험이 커질 수 있어요. 그러니 어린이 여러분도 개인위생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구에 사는 6살 승윤이에요. 나가서 자전거 씽씽이를 타도 될까요? 사람이 모여있지 않은 야외라면 가능해요. 오히려 여럿이 모인 폐쇄된 실내보다 낫지요. 마스크를 쓰고 나가서 자전거를 타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오는 복사 에너지가 지구를 데우면 온도가 올라가기 시작하거든요. 그러면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있는 낮 12시 아닐까요?그런데 일정한 장소에서 하루 동안의 기온 변화를 측정해보면, 가장 더운 시간은 오후 2~3시랍니다. 그 이유는 물을 끓일 때 시간이 지나야 온도가 ... ...
-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구에 참여한 네리다 윌슨 연구원은 “이 생물은 아마 우리가 바다에서 본 생물 중 가장 길 것”이라며, “심해에 매우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을 거라는 예상은 했지만, 관찰 결과,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었다”고 말했답니다.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당신은 전형적인 이과생입니다. 모든 이과 출신들이 그런 건 아니지만 이과 출신 중 많은 사람들이 문학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비유법, 반어법, 심상 같은 내용들은 수학 공식처럼 딱 떨어지지도 않아 결국엔 외우는 방법을 택하죠. 하지만 비유적 문장, 반어적 표현에도 결국은 과학의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광역학 치료는 우리 몸이 빛을 산란시켜 치료용 레이저 빛을 암과 같은 질병 부위에 집중하기 어려웠지만, 시간 역행 거울의 특성을 활용하면 입사한 레이저를 질병이 있는 위치에 한 점으로 모을 수 있다. 광역학 치료에 시간 역행 거울을 활용한다면 절제 수술 없이 몸 밖에서 원하는 질병 부위를 ... ...
이전2942952962972982993003013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