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케플러 제2 법칙에 따르면 모든 면적의 넓이는 같아요!”단이 확신에 차서 답을 말했지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답이 틀렸나? 그럴 리가 없는데….”“으아악! 이게 뭐야!”당황하며 어리둥절해 있는 순간 뉴턴이 울부짖는 소리가 들렸다. 소리 나는 곳을 바라보자 뉴턴이 서 있는 바닥 주 ... ...
- [2016 사이언스바캉스] 과학자와 함께하는 지적인 휴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작년 여름, 모집공고 7분 만에 마감한 그 강연 축제!‘2016 사이언스바캉스’는 올해의 화두 인공지능과 중력파, 화성 탐사 등을 주제로 한 9개의 강연과 이공계 진로 상담, 그리고 문화행사를 한 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고품격 과학행사입니다.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밝은 퀘이사인 3C 273의 평균 겉보기 등급은 12.9이다. 거리를 고려하면 절대등급이 무려 -26.7에 달한다. 이는 태양의 약 2조 배, 우리은하의 약 100배에 달하는 밝기다. 반면 크기는 엄청나게 작아서, 3C 273의 지름은 우리은하 지름의 60만 분의 1이다. 새끼 손톱만한 LED 하나가 야구장 전체를 밝히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모두 설치할 예정이다.다른 방법으로는 생활하수를 정화조에서 3~7일 동안 썩히지 않고 즉시 거르는 방법이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정화조 초입에 침전조를 붙여서 30분 동안 오물을 가라앉히고, 가라앉힌 오물만 정화조로 넣고 위로 뜬 물은 하수도관으로 흘러가도록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통계 자료에 따르면, 산사태 피해를 포함한 산림분야 총 복구비로 2007년 이후 매년 100억 원 이상이 투입되고 있다. 2011년을 제외하면 인명피해가 크지는 않았지만, 언제 어떤 사고가 닥칠지 모른다. 특히 2010년 이후 연평균 강우량이 1970년 이전 대비 19%나 증가했을 정도로 산사태 위험이 높아지고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관계자는 “갑자기 판매량이 수십 배 급증해 국내 재고는 전량 판매됐고, 재입고는 7월에나 가능할 것”이라 답했다.올해 초 SNS를 중심으로 ‘잠들게 하는 음료’라며 입소문을 타고 퍼진 슬로우 카우. 현재 정상적인 루트로는 구입할 수 없을 정도로 ‘핫’해지자, 이전 허니버터칩 사태처럼 ...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꽃 끝에 더 작은 면봉 모양의 암술 1개와 수술 4개가 삐져나와 있어요.산수유나무는 4~7m 정도까지 자라며, 기둥 껍질이 벗겨질 듯 일어나 있어 표면이 거친 게 특징이에요. 꽃이 진 이후에 볼 수 있는 잎은 매끄럽고 둥글며 널찍한 모양이고요. 잎 가운데 길고 굵은 잎맥이 있고, 양옆으로 얇은 ... ...
- [수학뉴스] 방정식을 풀었더니 웬 테러리스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자칫하다가 테러리스트로 몰릴 수 있거든요! 실없는 얘기처럼 들리지만 지난 5월 7일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펜실베니아 경제학과 귀도 멘지오 교수가 실제로 겪은 일을 보도했습니다.이탈리아 출신의 멘지오 교수는 지난해 40세 이하 이탈리아 경제학자에게 주는 상인 ‘카를로알베르토상’을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대립가설이 옳다거나 연구에 효과가 크다거나 하는 말은 할 수 없어요. 지난 3월 7일 미국통계학회(이하 ASA)는 P-value를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는 의미를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론 바서스타인 ASA 회장은 “P-value를 잘못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통계학 전체를 의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 ...
- [과학뉴스] 피부에 넣은 태양전지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결하면 주기적으로 전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연구팀은 6~7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6m) 두께의 얇은 태양전지 기판을 유연한 필름 위에 붙인 뒤, 투명하고 생체 적합성이 높은 물질로 코팅해 생체에 무해한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이것에 발광다이오드(LED)를 붙여 쥐의 ... ...
이전2942952962972982993003013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