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9,548건 검색되었습니다.
'승리호' 출동해야 하나…우주쓰레기 9천600t 떠다닌다
연합뉴스
l
2021.11.17
1억 개가 넘는다. 우주물체 추적 서비스 레오랩(LeoLabs)에 따르면 러시아의 위성요격
실험
으로 발생한 1천500개 이상의 우주쓰레기 조각은 고도 440∼520㎞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루이스 교수는 이 정도 고도에 있는 우주쓰레기는 "우려스럽기도 하지만 다행이기도 하다"며 "이 조각들은 ... ...
[랩큐멘터리] 버려지는 열로 전기와 수소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속도는 빠르다. 인공지능(AI)에 활용되는 기계학습 기반 소재 설계 기술을 적용해 연구와
실험
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이용한 수소생산 기술은 ‘열화학 물분해 기술’이다. 보통 전기에너지로 물을 분해하는 수전해와 유사하지만 전기에너지가 아닌 열에너지로 ... ...
사람 뇌, 언제나 '두 수' 이상 내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실험
참가자들이 2수 이상 앞을 내다보는 가치평가를 할 것으로 가정한 모델이 실제
실험
참가자들의 행동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 활성부위를 보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에서도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의사 결정 과정에서 복내측전전두엽 영역이 현재 가치뿐 아니라 미래 ... ...
미국서 야생사슴 코로나19 집단감염 확인... '바이러스 저장소' 가능성 얼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사람에게 전해지는 변이 바이러스를 우려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동물진단
실험
실및헉생명과학연구소 연구팀은 아이오와주 흰꼬리사슴 무리의 림프샘에서 채취한 샘플을 유전자증폭(PCR) 검사한 결과 코로나19가 널리 퍼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지난해 4~12월 조사했던 흰꼬리사슴 28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음식은 암 치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2021.11.16
주목된다. 칼로리제한 저혈당식이와 케톤식이가 종양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동물
실험
이다. '저혈당 식이'란 음식 섭취 뒤 혈당 수치 증가가 완만한 식단이다. 비교 기준이 되는 대조군 식단은 탄수화물 64%, 지방 17%, 단백질 19%인 전형적인 고탄저지로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먹고 있는 ... ...
맞고, 먹고, 이제는 붙인다…패치형 코로나 T세포 백신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시험 승인을 요청했다. 오라백스의 백신은 1회 복용하는 알약 형태로, 지난 3월 동물
실험
을 통해 코로나19에 대한 면역형성이 확인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 성공할 경우 세계 최초의 먹는 코로나19 백신이 된다. 보관은 물론 유통도 간편해 콜드체인 등 유통 인프라와 ... ...
과학기자들이 뽑은 올해 과학자에 석상일·이준이·최재욱 교수·홍정주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감염병 국제협력사업도 주도했다. 홍 책임연구원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을
실험
할 수 있는 영장류 모델을 세계 네 번째로 개발했다. 코로나19와 백신 관련 언론 취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거짓 정보를 방지하는 데 기여했다. 홍 책임연구원은 “이번 수상은 연구에 있어 좀 더 공동체와 사회를 ... ...
국내 생물학 대학원생 절반 이상 코로나로
실험
과 연구 제한... 비대면 학술교류 불만족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43%로 나타났다. 제한을 받은 항목으로는 학술대회 참석 차질이 61%로 가장 많았고
실험
기자재와 시약 납품 지연이 51%로 뒤를 이었다. 연구실 출입 이동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응답도 31%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한이 해결됐다는 응답은 55%, 해결되지 않았다는 45%로 아직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반반에 ... ...
'세포막 지방' 공략하는 구충제가 암 재발·전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암세포의 생존신호가 제어돼 암 재발 능력이 낮아졌다. 난치성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실험
적 근거를 찾은 셈이다. 남정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세포의 생존신호를 조절하는 리피드 래프트의 새로운 역할을 밝혀냈고, 난치성 암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데 의의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서로의 내면을 열었을 때
2021.11.13
그림을 보여주고 무엇이 보이냐고 묻는다. 참가자들이 질문에 답변을 할 때마다 함께
실험
에 임하는 다른 참가자는 어떤 답변을 했는지 보여준다. 그러고 나서 그 다른 참가자에 대한 호감도를 물으면 자신과 답변이 비슷했던 참가자에 대해 더 큰 호감도를 느끼는 현상이 나타난다. 사람들은 이렇게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