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후시설물, 와르르 무너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건물에 영향을 미친 거예요. 특히 이 건물은 구멍이 뚫린 벽돌에 철근을 넣어 지어졌는데, 진동에 의해 벽돌이 조금씩 엇나가 붕괴에 이르렀을 가능성이 높지요. 붕괴 한 달 전, 건물에 살던 사람이 촬영한 사진에서도 벽돌이 불룩하게 튀어나와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 ...
-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히 검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수 있지요. 또 작고 가벼워 하수관을 손상시킬 염려도 없답니다. Q로봇을 개발하는 데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섬모의 재료와 크기를 정하는 일이 가장 어려웠어요. 강하고 딱딱한 소재를 쓰면 하수관을 딛고 나아가는 추진력을 높일 수 있지만, 동시에 로봇 본체가 무거워지면서 멀리 나갈 ... ...
- 침에서 DNA를 찾아 생태계를 파악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시작됐어요. 원래는 야생에서 모기와 등에의 DNA를 찾는 연구를 할 계획이었지요. 그런데 모기를 발견하기에는 너무 늦은 시기였고, 남는 시간 동안 어떤 재밌는 연구를 할 수 있을까 고민했어요. 그러다 연어와 땃두릅나무에서 곰의 DNA를 찾게 됐지요.불곰의 침을 찾는 건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어요.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청중들에게 설명하기 위한 발표 준비로 바쁘지요. “이곳저곳 다니며 고생해서 얻은 데이터가 헛되지 않도록 열심히 준비하고 있어요. 사실 많이 어렵고 결과가 어떨지 몰라 두렵지만, 부딪혀 보려고요!”꼬마 새 박사에서 제비 연구자로, 다시 꾸룩새연구소 소장으로 발전하고 있는 정다미 ... ...
- 21세기 아인슈타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영양학과를 만들었어요. 학생들과 몸에 좋은 비스켓을 개발하고 국제 전시회도 열었는데, 한 학기 만에 전쟁이 났어요. 학생들 몇 명이 숨지고 8개월 간 전화와 인터넷이 끊겼어요.저는 가족과 예멘을 위해 연구를 계속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차에 있는 배터리로 휴대폰을 충전해 말레이시아에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라이프니츠는 도형이나 공간의 성질을 다루는 학문인 기하학의 개념을 익히는 데 꼭 시력이 필요한 건 아니라고 여겼던 거예요. 예를 들어 바지를 입고, 양말을 신으면서 양말보다 바지가 더 크다는 사실을 익힐 수 있어요. 또 자신이 들고 있는 막대기나 신발은 자기 입에 들어갈 수 없지만 포도나 ... ...
- 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있는 잠수부가 이 소년의 공기탱크를 들고 이동하는 방식이에요. 한 사람을 구조하는 데 약 2시간이 걸렸으며, 3일에 걸친 구조 작업으로 모두 무사히 동굴을 빠져나왔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2층짜리 건물로, 밤 동안 18MWh의 전기를 저장하고 낮에는 하수를 처리하는 시설을 돌리는 데 사용하고 있지요. 전기차나 수소차도 저장장치가 될 수 있어요. 이 둘은 건물보다 크기가 작고 가정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답니다. [스토리] “휴우~, 다행히 전기가 다시 ... ...
- 게임으로 충격을 치료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하지 않고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리면 작업기억은 모두 기억을 다시 단단히 저장하는 데만 사용돼요. 반면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림과 동시에 테트리스를 하면 작업기억 중 일부가 테트리스에 사용되지요. 즉, 테트리스를 하면 원래처럼 기억이 뇌에 생생하게 새겨지는 것을 방해할 수 있어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짝반짝 결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불러요. 배열이 규칙적이기 때문에 입자들 사이에 잡아당기는 힘도 균일하고 이를 끊는 데 필요한 에너지도 일정해 녹는점이 일정하다는 특징이 있지요. 하지만 모든 고체가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건 아니에요. 고체를 이루는 원자나 이온의 배열에 규칙이 없는 ‘비결정성 물질’도 있어요.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