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II. 스트레스가 남긴 고통스런 흔적, 만성피로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된다는 설명이다. 흔히 ‘스트레스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생리학자 한스 셀리에
박사
도 만성피로를 이렇게 정의했다.]스스로가 엔진이자 연료가 된 피로사회9월 17일 월요일 오후 11시. 사무실.믹스 커피 한 잔을 탔다. 오늘 세 잔째. 이제는 카페인의 힘을 조금 빌어볼 때다. 기사는 다행히 막바지를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번째로 큰 원자력 연구소”라며 “현재 75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고 이중에서 70명 이상이
박사
급 연구원”이라고 설명했다.유럽에서 작은 나라인 벨기에에 세계적인 수준의 원자력 연구센터가 생긴 과정은 제2차 세계대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벨기에는 아프리카 콩고를 식민지로 삼고 ... ...
생각하는 만화 그리는 빠나나
박사
이기진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간단하게 만들어서 소소한 웃음을 주고 싶었어요. 언젠가 그 팬티가 해골과 빠나나
박사
를 마법의 세계로 이끌지도 몰라요. 하하!만화로 물리를 공부할 수 있을까요?나의 만화를 통해 어린이 친구들이 물리 지식을 하나 더 외우게 되는 것을 원치 않아요.그 대신에 물리를 익히는 방법을 알려 주고 ... ...
[life & tech]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이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그 중에서도 다이버 강사 자격증을 갖춘
박사
님이 4분이나 계셔서 8명의 체험단원이
박사
님들과 일대일로 붙어 안전하면서도 풍성한 다이빙 체험을 할 수 있었다.다이빙 전, 장비와 귀에 압력을 해결하는 법, 그리고 다이빙 수신호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바닷속으로 향했다. 다이빙은 5~13m 사이의 ... ...
우주에서도 생명체 생길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제공한다. PAH가 얼음 표면에 붙으면 다른 복잡한 유기물로 바뀌기 때문이다.구디파티
박사
는 “우주 공간에서 생긴 이런 유기분자가 혜성이나 소행성을 타고 지구에 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천체물리학’ 9월 1일자에 실렸다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내렸다.그렇다면 나로호 비행의 안전성은 보장되는 것일까. 고정환 나로호체계종합팀
박사
는 “1단 비행구간에서는 1단 FTS에 의해 필요할 경우 비행종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2단 비행구간에서 FTS 기능이 없어도 안전에 문제가 없는지 면밀히 분석했다”며 “분석한 결과 1단이 정상 비행해 단분리가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있었던 소녀 웬디 슬로보다가 드럼헬러에서 공룡알 화석을 찾아내 캘거리대 렌힐스
박사
에게 보여준 것이 박물관이 생겨난 시초다. 박물관의 이름인 티렐(조세프 버 티렐)은 지질학자로 고생물학자들과 함께 알베르토사우루스를 발견하는 업적을 남기며 박물관의 이름이 됐다.화석 발굴 탐사에 ... ...
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형태로 바뀌기 때문에 더 달게 느껴지는 것이다. 김소영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박사
는 “과일을 구우면 화학 성분이 변해 과일이 더 달게 느껴질 수 있다”고 말했다.또한 열에 의해 수분이 증발해 당도가 높다고 느끼기도 한다. 같은 각설탕 1개라도 그냥 먹는 것이 물에 녹여 먹는 것보다 ... ...
2012 열대해양체험단, 남태평양을 품다!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한때 동물플랑크톤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저서 생물을 연구하시는 윤건탁
박사
님은 칠게들이 알을 낳아 부화하면 바로 게처럼 생긴 것이 아니라, 동물플랑크톤으로 존재하다 어느 순간 갑각류인 게로서 성장한다고 하셨어요.실제로 동그라미에 길고 얇은 삼각형과 직사각형을 붙여놓은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5년 미국 브룩헤이븐 연구소의 물리학자 애디허쉬코비치가 최초로 발명했다. 허쉬코비치
박사
는 플라스마 창을 실험에 쓰는 진공 챔버 안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용도로 사용했다. 만약 훨씬 더 높은 온도의 강력한 플라스마 창을 만들 수 있다면 탄환이 닿는 순간 증발해버릴 것이다.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