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화재 발생! 코딩로봇을 이용해 화재 현장에서 대피하라!”헉! 큰일 난 거 아니냐고요? 놀라지 마세요. 기자단 친구들이 건물에 불이 났다고 가정 ... 자연스레 코딩에 익숙해졌다”며, “다음엔 멜로디와 빛 등 뚜루뚜루의 다른 기능을 사용해 재밌는 미션을 해 보고 싶다”고 말했어요 ... ...
- [가상인터뷰] 거미가 하늘을 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알리: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반가워! 나는 거미야. 곤충처럼 보이겠지만, 우리는 절지동물로 곤충의 먼 친척이야. 다리가 여섯 개인곤충과 달리, 우리는 여덟 ... 날아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어. 이를 통해 연구진은 거미가 하늘을 나는 데 정전기를 사용할 것이라 추측할 수 있었단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지진 등에 의해서 고장 날 수 있기 때문에 얕은 바다일수록 더 무겁고 두꺼운 케이블을 사용한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수천 km의 해저 케이블은 어떻게 설치할까? 올해 1월, 구글은 2019년까지 3개의 해저케이블을 새로 설치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이 중 칠레와 미국의 LA를 연결하는 길이 9978km의 ... ...
- [과학뉴스] 곰돌이 젤리, 센서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일단 곰돌이 젤리를 녹인 다음 원하는 형태로 다시 굳혔어요. 이후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해 젤리 표면에 탄소 잉크를 전극 모양으로 프린팅했지요. 그 결과 단일 세포나 몇 개의 세포에서 전달하는 미세한 신호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연구를 이끈 노우란 아틀리 박사후연구원은 ...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흙이 항상 젖어있어야 해요. 이때는 화분을 물에 담가두는 ‘저면관수’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답니다.Q식충식물이 벌레를 먹지 않으면 어떡하죠?만약 키우는 식충식물이 벌레를 많이 잡지 못하는 것 같다면, 식물 화분을 데리고 산책을 해 보세요. 늦여름처럼 날벌레가 많은 계절에 화분을 밖에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자라지요. 지난 5월 영국 카디프대학교의 올리버 윌리엄스 교수는 이 방법을 사용해 시간당 0.006mm의 속도로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어요. 윌리엄스 교수는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일주일 만에 보석으로 쓸 수 있는 1캐럿짜리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
- [가상인터뷰] 공룡, 사실 혀를 날름거리지 못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공룡들은 비행을 위해 앞발이 날개로 진화했기 때문이야. 그 결과 먹이를 먹을 때 앞발을 사용할 수 없었거든. 대신 혀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더 정교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발달한 것이라고 분석했단다. 알리 : 이런 사실이 왜 이제야 밝혀진 거야?공룡 : 티라노사우루스는 ... ...
- [공생] 식충식물의 놀라운 변신! 화장실이야, 호텔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액체를 마시면서 용변을 보고, 벌레잡이통풀은 배설물에 들어있는 질소를 영양분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어요. 산지나무두더지와 벌레잡이통풀이 공생 관계였던 거지요. 낮잠 자기 딱 좋아!보르네오 밀림에 사는 또 다른 벌레잡이통풀인 ‘네펜테스 헴슬레야나(N. hemsleyana )’는 박쥐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거대 로봇 대결 창시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무게 4톤의 거대로봇이지요. 메가봇과 대결할 또 다른 로봇 제작자 레이 한은 동양에서 사용했던 별자리 체계인 ‘28수’에 영향을 받아 로봇을 만들고 있어요. 28개 별자리는 저마다 원숭이, 용 등 다양한 동물을 상징하기 때문에 총 28개 로봇을 만들 계획이지요. 다가올 대결에 어떤 로봇을 ... ...
- 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어렵답니다. 현재 환경부 및 여러 연구팀은 벌집 추적 기술, 페로몬 유인액, 덫 등을 사용해 등 검은말벌이 퍼지는 것을 막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지요. 기후변화의 불청객, 진드기한반도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진드기의 서식지가 늘어나고, 덩달아 그 수도 함께 늘어나고 있어요. 실제로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