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용
이용
사용
실시
시행
활용
집행
d라이브러리
"
적용
"(으)로 총 4,257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표현그렇다면 디지털캠코더와 기존의 캠코더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기존 캠코더에
적용
된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파동 형태로 화면을 표현한다. 반면 디지털캠코더에서는 모든 화면을 표시할 때 0과 1이라는 디지털 신호가 사용된다.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 갖는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인기를 얻고 있는 ‘스타크래프트’나 ‘리니지’ 같은 온라인 게임에 진화 알고리즘이
적용
될 전망이다. 온라인 게임의 매력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며 예측불허의 상황에 적당한 전략을 수립하는 재미일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으로는 아무리 복잡한 상황을 만들더라도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소자의 크기가 20-30nm 정도가 되면 소자는 양자현상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게 돼 기존에
적용
했던 회로의 설계법칙을 따를 수 없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도 증폭돼 상업화에 무리가 따른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반도체 집적도 방식은 2010년이면 한계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나노기술은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많고, 이들을 이용해 화면 전체의 이미지를 구성하게 된다. 대형 전광판에도 이 원리가
적용
될 수 있다. 그러나 대형 총천연색 브라운관 전면을 스캐닝하는 전자총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다. 그 대신 빨강, 초록, 파랑색만 내는 조그만 브라운관을 만들어서 이들을 전체화면 크기에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던졌다. 정보의 꼭두각시를 넘어그렇다면 인공생명은 로봇이나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에
적용
되고 있는 인공지능과는 어떻게 다를까. ‘아쿠아리움’(aquarium)이라는 컴퓨터 스크린 세이버를 통해 알아보자. 아쿠아리움은 각양각색의 물고기들이 떼지어 살고 있는 가상의 수족관이다. 그러나 수족관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과정이다. 따라서 하드웨어를 진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을 복제하고 유전적 변이를
적용
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바로 ‘재구성이 가능한 하드웨어’(reconfigurable hardware)다.진화 하드웨어에 대한 생각은 진화 알고리즘으로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진화시키는 연구에서 비롯됐다. 프로그램을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구체적으로 나노기술이 진단장비에 어떻게
적용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자. DNA칩은 DNA를 유리 표면과 같은 고형물에 심어 넣은 것으로 유전자를 빠른 시간 안에 검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MEMS 기술을 이용한 DNA칩에 유전자의 반응을 확인하기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인간을 위해 세계를 창조했고 현실을 움직이는 물리학의 모든 법칙들을 매트릭스에
적용
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매트릭스를 현실로 인식하게 되고, 가상의 죽음을 신체적 죽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이러한 설정은 어차피 우리가 인식하는 이 세계 역시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여진 신경 신호가 ... ...
중국 베이징 게놈연구소의 성공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않았다.인간 게놈 해독에서 샷건 방식의 효율성이 입증되기는 했지만 벼 게놈 해독에
적용
하는 것은 처음이어서 BGI의 연구진들은 문제가 생길 때마다 스스로 해결할 수밖에 없었다.첫번째 난관은 하드웨어 문제였다. 샷건 방식의 게놈 해독에는 슈퍼컴퓨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미국이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등의 사회간접자본 시설물과 달리 경험과 실험을 통해 안전이 확보된 공법만을 철저하게
적용
하며 기본에 충실한 가장 보수적 방법에 의해 건설된다. 금강산댐 상공에서 인공위성이 촬영한 한장의 사진은 이런 댐 건설의 기본을 무시한 점들을 보여준다. 그 중 하나가 완공 전에 물을 채운 것이다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