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자취
자취
흔적
발자욱
종적
냄새자국
d라이브러리
"
발자국
"(으)로 총 30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평양 바다속에서 광물을 캔다
과학동아
l
199002
인간의
발자국
을 남긴지 벌써 20년이 지나고 있다. 그러나 심해저면에는 아직도 인간의
발자국
이 미치지 않은 미지의 세계가 펼쳐져 있다. 심해저는 수심이 3천m 보다 깊고 수압이 3백기압 이상이며 햇빛 또한 도달하지 못해 생물이 살아가기에는 부적합한 환경으로 단지 심해어라고 하는 기형적인 ... ...
오른쪽 뇌 훈련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02
살펴 보라. 숲속에서 어떤 소리가 들리는가.자, 일어나서 숲속 더 깊이 들어가면서
발자국
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라. 숲속 오솔길을 돌아가 보니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집이 한 채 있다. 어떤 집인가. 집의 외형을 그려 보라. 좀 더 가까이 가보라. 방문이 열려 있으니 방으로 들어가보라. 방에는 ... ...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12
건조되어 가는 진흙 표면에 새겨진 새의
발자국
이 다른 퇴적물에 덮이게 된다면 이
발자국
도 퇴적암 속에 남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퇴적암 속에 들어 있는 생물이 남긴 몸이나 자국을 화석(化石)이라고 한다.시베리아나 알래스카의 언 땅 속에선 피가 들어 있는 살까지 붙어 있는 메머드가 통째로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10
말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화산체 주변 지층에서는 아직까지 공룡의 골격이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화산활동으로 인한 독가스들이 공룡의 멸종을 가져왔을 가능성도 다분히 있는 만큼 범세계적으로 확대 적용하는 문제는 많은 연구가 속행되어야 풀릴 수 있을 것이다. 사실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04
하지 않는 유일한 기관이다. 따라서 이런 방법으로 미숙아의 생육가능 한계가 또 한
발자국
앞으로 나가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미숙아 치료는 어디까지 갈 것인가그러나 거의 모든 의료전문가는 의학상의 방법이 태아가 자궁 속에서 지내야할 최초의 중요한 몇개월을 대신할 수 있게는 결코 할수 ... ...
코끼리 코가 생존에 가장 중요
과학동아
l
198901
넓은 지역의 초원에서 살고 있다.버마의 해발 3천미터 이상의 고지대 눈위에서 코끼리의
발자국
을 발견한 일도 있다.코끼리들은 대개 모계 중심으로 50~60마리, 때로는 수백마리가 한 떼를 이뤄 광대한 지역을 이동, 유목생활을 한다.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작은 무리를 만들거나 어미나 새끼들의 ... ...
집요한 추적, 능률적인 집단해동 늑대
과학동아
l
198811
뒷발로 밟고 지나가므로 두 발 가진 짐승으로 오인하기 쉽다. 암컷의
발자국
은 수컷의
발자국
보다 조금 길고 좁다. 또 늑대의 눈에서는 호랑이와 마찬가지로 불쾌하게 느껴지는 밝은 빛이 난다.늑대의 모정늑대는 사냥터 가까이 전망이 좋은 곳을 선택, 보금자리를 꾸민다. 여우나 오소리가 살던 굴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11
세밀하여 우수한 학자의 연구보고서로 설득력이 있다.네시의 애매한 사진이나 설인의
발자국
과 같은 자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구체적이고 세세한 부분까지 설명이 되어 있다.만약 실제의 것이 표본으로서 남아 있었다고 하면 틀림없이 동물학상으로 '금세기 최대의 발견!'이라고 전세계를 ... ...
호랑이
과학동아
l
198810
먹이를 찾아서 하루에 활동하는 범위는 보통 2백~2백리.한 걸음은 80㎝이며 항상 뒷발은 앞
발자국
을 되밟는 성질이 있다. 뛰는 속도도 매우 빠르며 점프력은 4m에 달한다. 큰 바위나 높은 곳에서 아래로 점프할 때에는 10m까지도 뛰어 내린다고 한다.또 수영을 잘 하며, 무더운 여름에는 계곡의 신선한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10
한다.가장 빠른 공룡은 1981년 미국 텍사스주 크레타시어스 저지에서 발견된 것. 공룡의
발자국
으로 미루어 보아 시속 40㎞로 움직였을 것으로 추측된다.가장 빠른 세균은 막대모양으로 생긴 보델로비브리오 박테리오보라스. 이 세균에 부착된 극성 편모가 1초당 1백번 회전하면 자신의 몸길이(0.001㎜ ... ...
이전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