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
인조
모조
인공적임
d라이브러리
"
인위
"(으)로 총 53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04
연구할 수 있을 만큼 작게 조각내는데 쓰였다. 그리고 이 제한효소는 오늘날 유전자를
인위
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유전공학의 손과 발 역할을 훌륭히 해냈다. 제한효소가 발견된 당시에 ‘신이 인간에게 내린 선물’이라고 불린 까닭이다.만약 눈과 입은 엄마를, 코는 아빠를 닮은 아이를 낳고 싶어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03
헤밀턴 스미스는 자르는 부위를 알 수 있는 제한효소를 발견했다. 최초로 유전자를
인위
적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1973년 미국 스탠퍼드대의 생물학자 스탠리 코헨과 캘리보니아대의 생물학자 허버트 보이어는 자연적으로 짝이 될 수 없는 두 DNA를 합치는데 성공했다. 즉 유전공학이 바탕이라는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03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흥미롭다.미국 캘리포니아대(샌프란시스코) 폴 에크먼 반사는 “
인위
적으로 특정한 감정을 만들어내면 몸도 거기에 따른 생리적 변화를 보인다”고 말한다. 입꼬리를 위로 올리고 억지로라도 웃는 시늉을 하면 기분이 좋아질 수 있다는 말이다. 슬픈 역할을 오랫동안 하는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03
이것을 통틀어 대사회로라고 한다. 이 대사회로를 연구자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인위
적으로 조작해서 원하는 물질을 더 많이 만들도록 하는 것이 대사공학이다.“효율적으로 원하는 물질을 많이 만드는 것도 대사공학이지만,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은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것이죠.” 이교수의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과학동아
l
200102
다른 곳에서는 파괴만 하고있다고 하죠.강박사_ 도입종을 말하는 것인데 그 과정은
인위
적이죠. 새로운 종이 나타났을 때 균형이 잡힌 생태계라면 먹이망에서 생물들이 균형있는 규모로 존재하게 됩니다. 하지만 도입종 같은 경우 천적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예요. 새로운 도입종은 생태계 ... ...
유전자조작 원숭이 '앤디' 탄생
과학동아
l
200102
삽입됐다’(inserted DNA)의 머리글자 iDNA를 거꾸로 한 이름이다. DNA가 삽입됐다는 말은
인위
적으로 다른 종류의 DNA를 집어넣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앤디는 흔히 듣는 유전자변형 콩처럼, 유전자조작기술에 의해 탄생했다는 말인데….빛을 내는 유전자 삽입유전자는 흔히 생명의 설계도에 비유된다. ... ...
1. 감성공학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102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소재 중 하나는 가상체험이다. 사람이 실제처럼 느낄 수 있도록
인위
적으로 정보를 제공해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넘나드는 것이다.이런 현상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매초 수십억비트의 감각정보가 우리의 감각기관에 전달돼야 한다. 과거에는 이 정도 크기의 정보를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11
유적은 대부분 강변이나 야산처럼 사람들이 쉽게 갈 수 있는 곳에 위치하므로
인위
적인 파손이 쉽기 때문에 보존에 특히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댐의 건설과 같은 국토개발에 의한 파손도 상당히 많다. 이미 우리나라 최대의 암각화 유적인 반구대 암각화는 태화강 상류의 사연댐 수면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11
이용하면 전자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물리적 특성을
인위
적으로 좋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종접합구조를 처음으로 제안하고 응용한 사람이 다름 아닌 금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알페로프 박사와 크뢰머 교수이다. 이를 바탕으로 크뢰머 교수는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11
화학물질이 다량으로 존재함을 밝혔다. 그리고 뇌에 존재하는 도파민 양을
인위
적으로 감소시키면 운동장애가 나타남을 알게 됐다. 또 생체내에서 도파민으로 변하는 물질(L-도파)을 투여하면 운동장애가 회복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후 도파민은 느린 시냅스 전달의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이며,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