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제"(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IBS) 연구진은 광유전학 기술로 공포 감정을 감소시키는 뇌 신경회로를 발견했습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공포 감정은 시각 자극을 받아들이는 ‘상구’ → ‘중앙 내측 시상핵’(공포 기억 억제에 관여) → ‘편도체’(공포 반응 작용)로 이어지는 회로에 의해 ... ...
- [이달의 뉴스] “누구 없나요?” 남극 동식물 65% 사라질 위기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연구팀이 2100년까지 남극 대륙 토착 동식물 종이 65%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2022년 12월 22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남극에 가장 위협적인 요소로는 지구 온난화를 꼽았다. 연구팀은 연간 2300만 달러(약 287억 원)를 투입해 위험 요소들을 관리하면 2100년까지 동식물 ... ...
- [기획]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해내려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인도, 러시아 등 35개국이 참여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가 채택한 방식이다. ITER는 현재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의 최전선에 서 있다. 다만 공사 기간이 늦어지고 있다. ITER는 2017년 완공을 목표로 2010년 본격적인 건설을 시작했지만 2023년 1월 ...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급식 되며, 전염병 발생을 막기 위해 공기 여과 장치 및 소독 시스템이 달려 있죠. 최근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약 40kg으로 네옴시티에서는 중국 돼지빌딩 기준 7동의 빌딩만 있으면 900만 명의 인구에게 필요한 육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런 형태의 동물 ... ...
- [만화 뉴스] 퀘타, 론나, 퀙토, 론토…, 새로운 단위 표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국제도량형국은 작년 11월 18일 ‘퀘타’, ‘론나’, ‘론토’, ‘퀙토’ 접두어 4개를 추가했어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 접두어로는 수를 표현하기 번거로운 상황이 생겼기 때문이지요. 접두어란 1000m를 1km로 쓸 때 사용하는 k(킬로), 1000분의 1m를 1mm로 쓸 때 사용하는 m(밀리) 등 수를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 국제우주정거장과 지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우주에서 최고로 멋진 우주선을 만들기로 했어. 자, 그럼 첫 탐사선으로 떠나 볼까? 국제우주정거장(ISS)지구에서 약 400km 높이에 떠 있어요. 서울과 부산 사이의 거리와 맞먹을 만큼 긴 거리예요.하루 15번 지구의 주변을 공전★해요.우주정거장엔 1998년부터 우주인이 머물기 시작했어요. 이들은 ... ...
- [과학뉴스] 지구 무게는 6론나그램, 새 접두어 4개 도입과학동아 l2023년 01호
- 36개 준회원국 대표들이 4년마다 모여 측정과 단위 관련 사항을 결정하는 기구다.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새 접두어가 도입된 건 1991년 이후 31년만이다. 리처드 브라운 영국 국립물리연구소 계측학 책임자는 AFP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현재 가장 큰 접두어인 요타(10의 24제곱)로도 한계가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순간이동 실험 역시 양자전송을 한 사례다. 2006년 일본 도쿄대와 영국 요크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양자전송을 통해 레이저빔을 2km 떨어진 곳으로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양자 얽힘 현상을 검증하고 양자컴퓨터 등 양자기술 시대를 여는 데 공헌한 공로로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한 ...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수 있게 만들지는 않겠지만, 우주탐사 분야에서 후발주자인 우리나라의 능력과 역량을 국제사회에 보여줄 수 있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 말했다. 다누리가 보내온 한글 메시지는 다누리의 순항을 알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우주탐사의 오늘과 내일을 표현하는 문장인 것이다. *과학동아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균일하지 않아 연동 운동 와중에 네모난 똥이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 연구는 2021년 국제학술지 ‘소프트 매터(그렇다, 저널 제목부터 ‘부드러운 물질’이다)’ 에 발표됐다. 그런데 똥오줌 연구해서 어디다 쓰나요? “무의미한 연구란 거의 없습니다.” 마이어-로쇼프 교수는 이렇게 단언했다.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