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학"(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것처럼요. 공간군을 활용한 3차원 대칭 분석은 화학뿐만 아니라 단백질 구조 분석을 하는 생물학에서도 쓰이며, DNA 이중나선 구조를 찾는 데에도 쓰이고 있습니다. 끝나지 않는 군의 세계이렇게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군 외에도 수학적으로 정의한 추상적인 군이 군론에는 무수히 많습니다. 그리고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극도로 줄어드는 현상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중요한 점은 살을 적절하게 유지해 생물학적 항상성을 스스로 지켜가는 일이다. 이런 점에서 비만을 일으키는 유전자 연구도 아직은 갈 길이 멀다. *용어정리 섬유아세포: 섬유성 결합조직의 중요한 성분을 이루는 세포. 주로 세포외기질과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리치 교수는 DNA와 RNA 분자 구조와 기능 연구에서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히는 구조생물학자였다. 권 부문장은 “조건은 제안이 온 곳 모두 좋았지만, 거처가 정해지기 전에 친히 숙소를 잡아 주는 리치 교수의 배려에 함께 일하기로 마음먹었다”고 회상했다. 리치 교수의 연구실에서 일하면서도 권 ... ...
- [에디터노트] 지방은 어디로 가는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해서는 여전히 모르는 게 많다. 지방세포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아직 정확한 분자생물학적 기작이 밝혀지지 않았다. 일단 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되면 그 뒤에는 분열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정도만 알려졌다. doi: 10.1038/s41586-018-0226-8 인간과 DNA 염기서열의 99%가 같은 영장류는 체지방이 9% ...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고와 행동을 보였다.크레이그 스타크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UC어바인) 행동신경생물학과 교수는 과잉기억증후군이 강박장애의 한 유형일 수 있다는 논문을 2016년 1월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사이콜로지’에 발표했다. doi: 10.3389/fpsyg.2015.02017스타크 교수는 과잉기억증후군 환자를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박정규 2단계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장(서울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은 “소장이나 신장 등 생체 조직이 담당하는 주요 기능은 의학적으로 확인됐지만, 뇌 등의 다른 조직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사실이 훨씬 많다”며 “이 경우 사람의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되기 전까지 하버드대 의대, 메사추세츠종합병원에서 일했다. 메이어 박사는 현재 생물학 실험뿐만 아니라 의학, 기상학 등의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우주에선 ‘셀프 수리’가 기본이다. 2019년 10월 우주유영 사상 최초로 여성 우주인들로만 이뤄진 팀이 우주유영에 나선 역사적인 순간이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바이러스 차단에는 더 효과적일까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포함해 코로나바이러스의 생물학적 구조와 복제 과정이 궁금한 분들은 과학동아 3월호로 Go~ Go~!! 굳이, 왜때문에, 곤충을 먹냐고 물어보니 (40p)☞ 바로가기 급 퀴즈 하나. 국내에서 식용으로 등록된 곤충은 총 몇 종일까요? ❶4종 ❷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물리적 거리가 부담이다. 김 씨는 “지난해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가 열렸는데, 이동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만큼 실험 일정까지 조정하며 학회 참석에만 온전히 하루를 썼다”며 “서울 지역 대학원생들은 오전에 연구하다가 오후에 학회에 들러 필요한 ... ...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화학자들은 수많은 원소를 원자량과 화학 특성을 기준으로 나열해 주기율표를 만들었고, 생물학자들은 수많은 생물을 형태적, 유전적으로 유사한 것끼리 연결해 계통수를 만들었다. 어떤 물리학자는 여기에 한술 더 떴다. 원소든 생물이든 우리가 이 세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이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