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공룡, 미세먼지 때문에 멸종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소행성 충돌 후 공룡이 정확히 어떻게 멸종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아. 그런데 지난 10월 30일, 벨기에 왕립천문대 샘 베르크 박사팀은 소행성이 충돌하며 발생한 엄청난 양의 미세먼지로 공룡이 멸종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Q. 미세먼지가 얼마나 발생한 거야?연구팀은 미국 노스다코타의 ... ...
- 빈대, 우리나라에 도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은신처로 가서 쉬었다가 탈피하는 것을 반복해 어른인 성충이 돼요. 성충이 된 뒤로는 9개월 정도 살죠. 암컷 성충은 수정을 하면 하루 2~5개 알을 2~3일 간격으로 낳아 일생 동안 약 200개의 알을 낳습니다. 빈대는 197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박멸됐던 곤충이에요.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양영철 ... ...
- 잎꾼개미 후투티와 함꼐 한 탐사줄다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10월 8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과 가족 62명이 충남 서천의 국립생태원에 모였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 연구원들과 함께 생태원을 탐사하기 위해서였죠. 1박 2일 동안 동식물은 물론, 곤충과 조류까지 관찰하고 온 대원들의 생생한 생태 탐사기, 지금 ... ...
- [특집]지질학자와 함께한 대만족 여행, 대만 탐험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10월 28일, 대만관광청과 함께하는 대만탐험대가 인천국제공항에 모였습니다. 세계적인 지질학자 우경식 교수님을 탐험대장님으로 이혜란 기자, 하정주 매니저, 그리고 1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독자 기자 호윤, 승준이가 탐험에 나섰지요. 대만탐험대는 대만 북부 ‘타이베이’와 동부 ... ...
- [만화 뉴스] 달 만든 원시행성, 지구 안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11월 2일,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첸위안 박사팀은 지구의 맨틀에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해 달을 만든 원시행성 테이아의 잔해가 남아 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지구와 테이아의 충돌이 지구 내부에 흔적을 남겼을 거라 가정하고 컴퓨터 모의실험을 진행했어요. 모의실험 결과 테이아의 ... ...
- [가상인터뷰] 불가사리의 별 모양, 몸통 아닌 머리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머리이고 몸통인지조차 구분하지 못했어. Q. 당연히 별 모양 몸인 줄 알았는데?지난 11월 1일, 영국 사우샘프턴대학교 제프 톰슨 박사팀은 극피동물의 몸으로 여겨졌던 신체 부위가 실제로는 머리에 가깝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연구팀은 불가사리의 성장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가 어느 위치에서 ... ...
-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각 태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등 밀폐된 공간에 오래 갇혀 있어도 굶어 죽지 않아 직접 죽여 처리해야 합니다. 지난 10월 질병관리청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를 빈대에 뿌리라고 안내했습니다.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는 곤충 세포막의 신경 자극을 전달하는 물질인 소듐 통로가 닫히는 것을 방해해 빈대를 꼼짝 못하게 하지요 ... ...
- 맹꽁, 맹꽁! 물총새가 첨벙!...우리 동네 도시숲에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초보 팀은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 수원에 있는 도시숲 일월저수지에서 30종의 새를 기록했습니다. 물총새를 비롯해 계절이 바뀔 때마다 어떤 새들이 저수지를 찾는지 살폈지요. 과학초보 팀은 “겨울에는 큰고니를 관찰했다”며 사진을 보여줬어요. 하얀 큰고니의 모습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깨져버린 탕후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맛있다고 많이 먹으면 중독될 수도! 새콤달콤한 탕후루, 먹어 본 적 있나요? 10월 9일 미국 미시간대학교 애슐리 기어하트 교수팀이 이끄는 공동 연구팀은 성인과 청소년 일부가 탕후루 같은 초가공식품에 중독 증상을 보인다고 발표했습니다. 초가공식품은 식재료를 가공한 뒤 향료나 인공감미료,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창 너머 아른아른 전통 한지공예 무드 등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산업단지가 만들어지면서 서식지가 파괴돼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올해 2월 27일, 일본 고베대학교 스에츠구 겐지 교수팀은 처음 발견된 서식지에서 불과 29km 떨어진 곳에서 이 식물을 다시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요정 등불이 속하는 티스미아과 식물은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