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2021년 7월, 서울대 동물 표본실이 곰팡이로 뒤덮인 채 발견됐다. 보관 중이던 표본은 전량 폐기됐다. 임영운 서울대 자연과학대 교수팀은 당시 표본실을 습격한 곰팡이를 분류해 올해 초 논문으로 발표했고, 당시 표본실에서 채취한 곰팡이 26종을 현재 냉동보관 중이다. 과학과 연구는 그렇게 이어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메시지는 빨간색 한 칸은 1, 흰색 한 칸은 0에 해당하는 2진법 아스키(ASCII) 코드로 변환해 적은 ‘위대함에 도전하라(Dare mighty things)’란 말이었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미국 26대 대통령이 했던 이 말은 NASA에서 무인 탐사 우주선의 개발 및 운용을 맡은 제트추진연구소(JPL)의 모토이기도 하다. 낙하산에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정신과 원장이 되어 환자를 치료해봄 HELP ME!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대학교 봄학기 중간고사 기간. 해가 중천에 떴다. 벚꽃이 휘날리는 창 밖 거리는 수업을 마치고 점심을 먹으러 가는 학생들의 소란으로 분주하지만, 나는 아직도 기숙사 침대에 누워있다. 밥맛도 없고, 친구들도 보고 싶지 않다. 그래도 시험 공부를 해야할 것 같아 씻지도 않고 도서관에 갔더니, 오 ... ...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생각에 잘 맞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어디선가 당연한 상식처럼 배웠지만 정작 확인해 본 적은 없는 동물에 대한 믿음은 꽤 다양하다. 모든 상어가 인간을 잡아먹을 정도로 무섭다거나, 지구에서 가장 큰 생물은 대왕고래라거나, 레밍이 절벽에서 뛰어내려 자살한다는 등의 이야기는 너무 쉽게 ... ...
- 공동연구 잘~하는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Q. 수학자가 아닌 다른 분야의 전문가와 공동연구를 시작하는 과정이 궁금해요.보통 생물학 학회에서 저를 알게 된 연구자가 제게 연락하거나, 제가 흥미로운 생물학 문제를 발견하면 먼저 함께 연구하자고 연구자에게 제안을 하죠. 모든 연구를 다 하는 건 아니에요. 두 가지 조건이 있는데, ‘문제 ... ...
- [수학상위1% 비밀무기] 의대 합격 비결은 친구와 함께 수학 공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되면서부터예요. 이후 같은 고등학교에 나란히 입학했지요. 고등학교에서 같은 반이 된 적은 없지만, 쭉 친하게 지냈어요. Q. 둘 다 의대를 목표로 했는데 서로 경쟁상대라는 생각은 안 했나요?김동우 없지 않았죠. 내신을 두고 경쟁해야 하니까요. 그치만 원래 친한 친구 사이라 경쟁하고 싶지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곤충을 좀비로 만든다?! 기생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지난 여름 장마철, 버섯 촬영을 위해 포천 국립수목원 전나무 숲길에 도착했어요. 촬영을 위해 땅바닥을 정리하던 중, 낙엽 사이로 한 마리의 죽은 사마귀가 보였습니다. 외피 사이로 부푼 하얀 솜뭉치가 드러났어요. 곤충에 기생하는 버섯인 ‘백강균’의 작품임을 단번에 알 수 있었죠.※전문가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 악보, 뭔가 이상하다. 재밌게도 오선지가 소용돌이치고 있다. 현대음악 작곡가 조지 크럼의 ‘나선 은하’라는 작품이다(일반적인 악보처럼 연주가 가능하다!). 이 악보처럼 은하계는 여러 나선팔이 아름답게 휘감긴 거대한 소용돌이 모양이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소용돌이 모양일 것으로 ... ...
- [과학사 극장]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1999년 미국의 시사지 은 20세기의 인물로 아인슈타인을 선정했다.상대성 이론으로 20세기 물리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E=mc²이라는 공식으로 원자폭탄 개발을 가능하게 한 아인슈타인. 그를 둘러싼 여러 소문의 진실을 알아보자. 의혹 1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1922년, 아인 ... ...
- [논문탐독] 녹조라떼, 머신러닝이 해결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년 늦은 봄이 되면 하천과 호수에 조류가 둥둥 떠다닌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곤 합니다. 강물에 뜬 초록색 덩어리들을 유리잔에 가득 담은, 이른바 ‘녹조라떼’ 사진은 독자 여러분도 본 적이 있을 겁니다. 이 녹조 현상은 늦은 봄부터 장마 전까지, 그리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