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TV"(으)로 총 1,76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초박형 태양전지는 표면에 요철이 있어도 들뜨지않고 잘 붙는다. 초고화질(UHD) TV용 고성능 이미지 센서 제작에도 활용할 수 있다. 무기 반도체는 자연광을 통째로 흡수하는 만큼 카메라에 컬러 필터를 별도로 장착해 RGB(적·녹·청) 색상을 구분해야 한다. 하지만 유기 반도체는 파장에 따라 RGB를 ... ...
- [헷갈린 과학] 호주의 대표 귀요미, 쿼카 VS 웜뱃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TV에서 호주에 사는 ‘쿼카’를 봤어요. 그런데 제가 알고 있던 호주 동물 ‘웜뱃’이랑 닮은 것 같아요. -신지호(wlgh0702) 쿼카는 캥거루목 캥거루아목에 속하는 동물이에요. 캥거루목 동물 중 몸집이 작은 편 이지요. 몸 길이는 보통 40~54cm 정도, 몸무게는 2.5~5kg 정도랍니다.쿼카는 웜뱃과 함께 ... ...
- [시사과학 뉴스] 전세계는 지금 비트코인 열풍!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상화폐’, ‘비트코인’이라는 말이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어요. 얼마 전 한 TV 토론회에서는 카이스트 정재승 교수와 유시민 작가가 이를 주제로 설전을 벌이며 큰 화제가 되기도 했지요. 대체 가상화폐와 비트코인이 무엇이기에 이렇게 큰 관심을 받는 걸까요? 가상화폐? 암호화폐? 비트코인 ...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역시 나날이 발전해왔는데요, 이러다 보니 심판이 미처 잡아내지 못하는 수많은 장면을 TV를 통해 지켜보던 시청자가 잡아낼 수 있었고, 이는 자연히 오심 논란을 만들어 냈습니다. 심판과 축구협회 역시 예전부터 인간 심판의 한계를 인정하고 사후 징계 같은 방법을 사용했지만 이것만으로는 ...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동성애를 고민하는 사춘기 청소년의 비율이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영화와 TV 등 대중매체(53.6%)와 동성애자 연예인(19.3%)을 통해 동성애에 대해 인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의 발달 단계에서 젠더를 인식하는 시기는 두 번이다. 바로 유아기와 사춘기다. 3~5세 유아기에는 자신의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네 번째 방송으로 찾아온 수학동아TV의 BJ맹추입니다! 오늘의 수학 개념은 복잡한 계산은 없지만, 기호가 많아서 골치 아픈 ‘집합’이에요. 처음엔 헷갈려도 계속 보면 금세 익숙해지니까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시청 바랍니다!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일단 모이기만 해! 책상에 10분만 앉아있어도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생겨났다. 사춘기의 문화를 결정하는 대표적인 채널은 미디어다. 요즘 사춘기는 TV, 책 등 전통적인 미디어보다 인터넷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영화를 보고, 음악을 다운받아 듣는 일방적인 소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쌍방 소통으로 커뮤니케이션 방식도 옮겨갔다. 온라인에 대한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여성가족부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수년간 TV, 라디오 등에서 정신의학 상담을 진행해왔다. 저서로는 ‘마음이 아닌 뇌를 치료하라’ 등이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뇌 유전자 호르몬, 요즘 사춘기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Part 2. 폭풍성장 ... ...
- [에디터 노트] 가짜의 달콤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을 개발한 뒤 2011~2012년 이를 환자에게 이식하는 수술로 명성을 떨쳤다. 국내에는 2013년 TV 다큐멘터리 ‘해나의 기적’에서 한국계 캐나다 여아 해나 워런의 기관 이식 수술을 담당한 의사로 등장하면서 유명해졌다. 하지만 당시 마키아리니 박사에게 인공 기관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는 모두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3] 수학적 최적화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같은 축덕이야 TV로 봐도 경기가 재밌지만, 축알못에게는 빨리 채널을 돌리고 싶은 지루한 시간일 겁니다. 그런데 평소 축구가 싫다고 말하는 사람도 경기장에 가면 재밌답니다. 그건 축구장을 지을 때 수학을 이용해서가 아닐까요? 한 번이라도 축구장에 가서 축구 경기를 본적이 있나요? 카메라를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