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뉴스
"
넓은
"(으)로 총 1,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진 잡무 덜고 환자 돌보는 로봇 존재감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2.12.13
갑작스럽게 변했을 때 의료진이 즉각 화상진료에 임할 수 있도록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넓은
병원에서 먼 곳에 있는 의료진이 환자에게 달려오는 몇 분의 시간 동안에 최선의 조치를 취하는 것을 돕는다. 현재 1개 로봇이 운영되고 있다. ‘홈케어 로봇’은 병원에서 퇴원 후 의료인의 관리가 ... ...
[과찬의말씀] 보이지 않는 ‘독’을 상대하는 원더우먼
2022.12.10
지치지 않고 도전을 이어가는 원동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정말 엄청나게
넓은
바다에서 헤엄치고 있는 기분이에요. 제가 목표로 하는 것은 호흡기인데요. 유해 물질들이 실제로 호흡기에 들어갔을 때 어떤 작용 과정을 거쳐서 인체 내 세포를 망가트리는지 지금까지 나와 있는 데이터가 ... ...
[공감! 과학용어] ⑥커뮤니케이터들도 어찌할 수 없다...설명 부족한 용어들
2022.12.08
상황도 있었다. 한 담당자는 “해외 의학회에서 발표된 내용을 작성할 때 의료진이
넓은
범위의 질환명만을 보내온 경우가 있다”며 “전문가는 이 질환명 중 어떤 세부질환이 해당하는지 쉽게 알 수 있겠지만 일반인들에게 연구결과를 정확히 설명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아 더 정확한 질환명을 ... ...
[프리미엄 리포트] 지하 1000m 실험실에서 우주기원 밝힐 '유령' 찾는다
과학동아
l
2022.11.12
뮤온이 지나간다면 그 시간 동안 얻은 데이터는 모두 버린다. 전체 실험구역 중에서 가장
넓은
건 LSC(대형 액체섬광물질 검출기) 실험구역이었다. LSC의 목표는 중성미자 또는 암흑광자를 직접 만들어 관찰하는 것이다. 실험구역은 두 공간이 연결된 형태다. 각각 중성미자 또는 암흑광자를 생성할 ... ...
군복에 스프레이처럼 뿌려 화학무기 독성 차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확인됐다. 백 책임연구원은 "기존에 보고된 방법이 아닌 단순 스프레이 공정을 통해
넓은
면적까지 빠르게 코팅할 수 있고 화학무기의 독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게 이번 연구의 차별점"이라며 "스프레이 코팅을 통해 유사시 군복과 군용장비에 사전제독뿐 아니라 오염된 부분의 ... ...
이태원 참사 상황, 비의도적 물리현상 '군중난류'와 유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사람들은 결국 '군중난류' 상태에 빠지게 된다는 게 연구진의 결론이다. 군중난류는
넓은
공간으로 이어지는 좁은 길목에 사람들이 밀집되는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지점과 경사로에서 발생하기 쉽다. 군중안전 전문가인 키이스 스틸 영국 서퍽대 방문교수는 2012년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군중 ... ...
[과기원은 지금] '2022 GIST 과학문화주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교수는 "이 나노 계면활성제는 기존 공 모양이나 아령 형상에서 구현이 불가능했던 더
넓은
범위의 기능성 나노 구조체 제작을 가능하게 했다"며 "수직 방향으로 구조 조절을 하는 부분은 나노 계면활성제의 구조적 다양성을 확장하는 뛰어난 기술"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구상나무를 내륙의 복원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넓은
구상나무 숲에서 유전적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대상 나무를 선정하는 것이 좋을까. 유전자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한라산은 10m, 지리산에서는 20m 정도 거리를 띄우면 유전적으로 다양한 ... ...
두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되면 잡종 바이러스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0.25
수 있다는 의미다. 잡종 바이러스는 면역 체계를 회피하도록 도울뿐 아니라 더
넓은
범위의 폐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다. 인플루엔자A는 코와 목구멍을 감염시키는 반면 RSV는 기도와 폐까지 감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러스학자인 스티븐 그리핀 영국 리즈대 의대 교수는 "잡종 바이러스가 ... ...
호랑이는 사람과 공존해 멸종 피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인도 뭄바이에서는 표범이 도시공원에서 길 잃은 개를 잡아먹으며 살기도 한다"며 "
넓은
범위에서 사람과 동물이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과 동물간 공존의 사례로 싱가포르 도심 속 부킷 티마 숲을 꼽으며 "밀렵을 근절하고 산림 복원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는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