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출현
도래
통관
입항
참가
가입
뉴스
"
등장
"(으)로 총 3,9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줄 것'이라는 말을 남기고 은퇴를 했다. 클로로포름. 위키미디어제공 ● 클로로포름의
등장
리스턴의 에테를 사용 소식을 들은 영국 산부인과 의사 심슨(James Young Simpson)은 ‘수술시 통증을 줄여줄 수 있으면 분만시 통증도 줄여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하여 분만중인 산모의 코에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24.04.27
보존을 보여주는 것뿐이었다. 플로지스톤 이론이 멸종된 이후 에너지나 전자 개념이
등장
하기까지 약 100년을 더 기다려야 했다. 장 교수는 이를 두고 “요절한 플로지스톤”이라 불렀다. 라부아지에의 화학은 물론 훌륭한 과학이었지만 불필요할 정도로 경쟁 이론을 물리침으로써 과학이 다양한 ... ...
"메갈로돈 닮은 고대 상어, 바다거북도 잡아먹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7
대해 밝혀낸 특징을 영국왕립학회보에 24일 발표했다. 영화에서 거대한 괴물로 자주
등장
하는 고대 상어 '메갈로돈'의 실제 모습은 정확히 알 수 없다. 연골 어류인 상어는 죽어서 화석이 되면 대부분 이빨만 남기 때문이다. 메갈로돈 역시 약 18㎝에 달하는 어른 손바닥 크기의 이빨 화석 말고는 ... ...
"내가 과학자인 것처럼" 대한민국 과학축제 25일 대전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초소형 유전자 가위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와 수많은 신제품이
등장
하는 행사인 미국 소비자가전전시회(CES) 2024 출품작도 관람할 수 있다. 세계자연기금(WWF)과 연계한 모형 판다 플래시몹 특별전도 준비됐다. 축제 개막은 25일 저녁 7시에 엑스포시민광장 메인무대에서 진행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업그레이드된 단백질 설계 AI…백민경 교수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문구가 적혀있다. 결합을 통해 새로운 단백질을 고안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이
등장
했다는 의미다. 표지에는 단백질 설계에 필요한 표적 리간드와 아미노산이 결합하는 모습이 실려있다. 소분자, 핵산 등의 표적 리간드(주황색) 주위에 아미노산과 짧은 펩타이드가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해 ... ...
가장 즐겨먹는 커피종 '아라비카' 기원 규명됐다
2024.04.21
에티오피아 숲에서 코페아 카네포라와 코페아 유게니오이데스 사이의 자연 교배로
등장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아라비카는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해 유전적 다양성이 사라지는 현상을 총 3번 겪은 것으로 분석됐다. 2만~10만 년 전에는 아라비카 개체 수가 적은 시기가 오래 지속됐다. 이 ... ...
"한국인 유전체DB·데이터 분석장비 절실"…생물공학 차세대 연구자들의 '일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구조 예측 AI인 ‘알파폴드’와 '로제타폴드'가 각각 2019년, 2021년 학계를 들썩이며
등장
하며 연구 방법론을 바꾸는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로제타폴드를 만든 단백질 설계 분야 대가인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주립대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 시절을 보냈다. 2013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단세포성 미생물인 조류(藻類)의 내부를 엑스선(X-RAY)으로 촬영한 모습을 실었다. 표지에
등장
한 조류는 '브라루도스파에라 비겔로위'란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1억년 전부터 지구에 서식했다는 화석 증거가 남아있다. X-RAY 단층 촬영을 통해 살펴본 이 조류의 내부에는 특정한 세포 기관이 분열되는 ... ...
"끔찍한 마피아식 살인"…석기시대 유럽서 만연
동아사이언스
l
2024.04.13
변화가 일어나며 차츰 사라졌다. 크뤼베지 교수는 "스톤헨지 등 거대한 거석 무덤이
등장
하며 사람들이 죽어 나가는 유적지의 시대가 끝났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안겨준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다. 약탈적 학술지는 오픈액세스의 불로소득을 때문에
등장
하는 사회악이다. 약탈적 학술지를 가려내는 일은 말처럼 쉬운 것이 절대 아니다. 정상적인 학술지와 약탈적 학술지를 분명하게 가려내는 기준을 설정하는 일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일탈 수준을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