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뉴스
"
서식지
"(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라우에선 자외선 차단제 바르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암초다. 햇빛이 풍부하고 수온이 높은 열대 바다에서 많이 자란다. 해양생물들의
서식지
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지구 온난화 완화에도 기여한다. 산호의 촉수가 광합성을 하면서 바닷속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뿜어낸다. 의약품 재료나 장신구로도 쓰인다. 이런 산호에 자외선 차단제에 ... ...
멸종위기 생물 100만종 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외에도 검은 코뿔소나 코끼리, 오랑우탄 등이 멸종위기에 놓여 있다. 이들은 자기
서식지
에서 겨우 수십~수천 마리가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 동물을 멸종 위기로부터 구출하려면 장시간 과학자들의 노력과 국제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알렉스 짐머만 영국 옥스포드대 동물학과 ... ...
[화보+] 사이언스·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연못에 물을 공급하는 강의 상류에 대규모 광산이 개발될 계획이 세워지면서
서식지
파괴 논란이 일고 있다. 블랙홀의 그림자/ETH/네이처 블랙홀의 그림자/ETH/네이처 2019년 4월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블랙홀의 첫 사진이다. 정확히는 블랙홀의 그림자를 확인시켜준 사진이다. 메시에 87 은하 ... ...
작았던 천연기념물 애벌레, 과학관에서 성체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국립과천과학관이 천연기념물 21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장수하늘소 애벌레를 성체로 키우는 데 성공했다. 왼쪽은 아직 애벌레 상태이던 9월의 ... 포천시와 남양주시에 걸쳐 있는 광릉숲이 주
서식지
로 알려져 있다. 광릉숲 이외의 자연
서식지
는 1969년 이후 발견된 적이 없었다. ... ...
플라스틱 쌓인 지금은 ‘인류世’ 시대… 생태 위기 해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수 없는 변화가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임계폭풍’ 속으로 점점 다가서고 있다”며 “
서식지
를 스스로 파괴하는 현재의 ‘약탈적 자본주의’에 대항하고 효율보다는 공평함을 중시하는 경제학, ‘삶’ 중심으로 시스템을 재편하려는 지구과학을 통해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 ...
인류세 전문가 "지구는 되돌릴 수 없는 임계폭풍을 눈 앞에 두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모든 티핑포인트들이 서로 연결돼 있다는 개념이 임계폭풍이다. 스테판 교수는 “
서식지
를 스스로 파괴하는 약탈적 자본주의에 대항해 공간을 선을 지켜가며 활용하고 효율보다는 공평함을 유도하는 설계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제학자, 인간 중심이 아닌 ‘삶’을 중심으로 지구 시스템을 ... ...
지구온난화로 죽어가는 산호초 살리는 물고기들
연합뉴스
l
2019.12.03
내는 소리가 어우러져 상당히 시끄러우며, 어린 물고기들은 이런 소리를 듣고
서식지
를 찾는다"면서 "산호가 죽으면 물고기와 새우가 사라져 귀신이 나올 것처럼 조용해지는데 수중 스피커로 건강한 산호 소리를 들려줌으로써 어린 물고기를 다시 유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1저자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서아프리카 주민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대성공을 거뒀다. 매개체인 흑파리의
서식지
인 강 인근 주민들은 사상충에 감염돼 각막염으로 고생하다 결국 실명하게 되는 비극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며 살다가 알약 하나의 기적에 환호했다. 1987년 10월 21일, 이제 사장이 된 바겔로스는 약값을 ... ...
틀린 그림 찾기? 다른 유전자 찾기!
과학동아
l
2019.12.02
증가한 반면, 흰얼굴물떼새의 개체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물떼새의
서식지
가 합쳐졌다가 분리됐는데(2차 접촉), 당시 집단 간 유전자 이동(흐름)이 일어났고 이후 지리적으로 격리되면서 닮았지만 유전적으로 다른 지금의 모습으로 진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물떼새의 ... ...
시민과 과학자가 함께 만든 서울의 화분매개자
서식지
지도 '시민과학의 위대한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30
아이내츄럴리스트(iNaturalist) 등 시민과학 플랫폼에 올린 자료를 토대로 화분매개자
서식지
와 생태 통로가 필요한 지역을 분석한 결과를 설명했다. 모두 145명이 촬영한 1897장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였다. 세레 연구원은 “화분매개자의 입장에서 서울의 핫스팟이 어디인지 알아봤다”며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