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균관대학교
성대
성균관대학
성균관
뉴스
"
성균관대
"(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위 1% 연구자에 한국 연구자 46명…서울대·IBS·UNIST·
성균관대
순으로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올렸다. 기관별로 보면 서울대 7명, 기초과학연구원 7명, 울산과학기술원(UNIST) 6명,
성균관대
가 5명, 고려대 4명, 한양대 3명 등이다. 반면 전통적인 과학기술 중심대학인 KAIST는 3명, 포스텍 1명으로 초라한 성적을 받았다. 안성식 클래리베이트 한국 대표는 “2001년부터 벌써 약 20년 가까이 ... ...
SF로 AI와 함께하는 미래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감독의 영화 '설국열차'를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를 다룬 SF 영화들이 수상해 온 자리다.
성균관대
영상학과에 재학 중인 이 감독은 이번 작품이 입봉작이다. 이 감독은 “아이의 꿈에 기대 살아가는 어른을 다룬 세상에 아침잠이 많던 제 경험을 녹였다”며 ”SF 영화는 어떤 소재든 다룰 수 있어 ... ...
'과학기술 미래인재 콘퍼런스' 개막…"미래인재 양성 소통의 장"
연합뉴스
l
2020.11.05
잠재력을 깨워서 더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한국형 인재의 DNA'를 주제로, 세계 속에서 대한민국 인재가 갖는 강점과 4차 산업혁명 시대 생존하기 위한 대응전략 등을 제안했다. 6~7일 이어지는 '미래인재 토크콘서트'에서는 ... ...
[과학게시판] 제1회 과학기술미래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24
한국물리학회 등 과학기술 분야 9개 학회가 참석했다. 권재영
성균관대
교수가 퇴행성 뇌·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을, 이윤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가 노화개선·극복을 위한 다학제간 융합기술을 발제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의 디지털 뉴딜 ... ...
전기차 6분이면 90%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90% 충전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내다봤다.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강병우 교수 연구팀과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윤원섭 교수팀이 이차전지를 전극 물질에서 충전하거나 방전할 때 입자 크기를 줄이지 않아도 획기적으로 충전과 방전 시간을 단축해 고출력을 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재료 분야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청색광을 내는 소재는 오래 제성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도 난제로 꼽힌다. 배완기
성균관대
나노공학부 교수는 “디스플레이가 시간이 지나면 색이 변하는 것도 청색 소자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청색광 퀀텀닷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 QLED ... ...
영화 아바타 속 '신비의 자원' 상온 초전도 사상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등장하면서 구현 온도가 영하 약 20도까지 올라오면서 돌파구가 열렸다. 박두선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기존에도 일부 상온 초전도 현상이 보고됐지만 대부분 신뢰성이 낮아 가짜과학 취급하는 분위기까지 있을 정도로 상온 초전도는 구현하기 어려운 주제였다”며 “하지만 점차 수소를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주입되는 속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학과 교수는 “모든 산업이 친환경을 추구하고 있는 만큼 퀀텀닷 역시 기술적으로 어렵더라도 친환경 소재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견디지 못하고 빨리 닳으면서 다른 색의 LED에 비해 수명이 빠르게 줄어든다. 배완기
성균관대
나노공학부 교수는 “LED 디스플레이가 시간이 지나면 색이 변하는 것은 청색 소자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청색광은 난이도가 가장 큰 대신 활용도도 높다.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자체가 없을 정도였는데 시간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배완기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교수는 “QLED 소재 개발이 학문적으로 많이 이뤄지는 가운데서도 청색 소재 개발이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고효율 LED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