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용어"(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2014.10.06
- 우리가 익숙한 사과 대신 능금을 쓴 건 저자의 의도였다. 즉 원래 능금이 널리 쓰이는 용어였는데 1960년대를 지나며 역전이 돼 사과라는 이름이 쓰이고 능금은 우리 재래종을 지칭하는 말로 축소돼 굳어졌다는 것. 중앙아시아의 야생 사과나무에서 딴 다양한 크기와 색상의 사과. - 미국 농림부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⑦] 생물의 에너지, 바이오매스2014.09.22
- 식물체와, 이들을 식량으로 하는 동물이나 미생물 등 모든 생물체를 포함하는 생태학적 용어다. 그러나 에너지 분야에서 바이오매스는 ‘연료로 이용할 수 있는 생물자원’을 말한다. 바이오매스로부터 만들 수 있는 연료는 생산되는 형태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액체 상태의 수송용 연료인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⑥] 흐르는 강물처럼, 다목적 수력발전동아사이언스 l2014.09.02
- 석탄과 같이 연소에 의해 각종 공해물질을 배출하는 연료와 대칭해 사용하는 사회학적 용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력발전이 청정에너지 설비의 22%, 발전량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대체에너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력발전소는 2012년 12월을 기준으로 국내 총 125개가 있으며, 연간 약 ...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 봐서 비슷한 인상을 받은 것 같다. 그런데 최근 정부가 간질 대신 ‘뇌전증’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는 발표를 했다. 간질이 잘못된 표현은 아니지만 워낙 사회적인 편견이 심해 불가피한 일이라고. 글 앞에 인용한 문구는 캐나다 신경과학자 라젠드라 케일이 1997년 학술지 ... ...
- 탈북 과학기술인 “북한선 중산층 이상으로 살았는데…”과학동아 l2014.07.22
- 차이’(66.7%)가 가장 많았으며 북한의 학력이나 자격을 인정받지 못하는 점, 용어차이, 나이제한, 탈북자 대한 선입견 등도 지적했다. 탈북 과학기술인은 대부분(66.7%)이 북한에서 자신의 직업에 만족했으며, 대다수(93.3%)가 북한사회 내에서 중산층 이상의 생활을 영위했다고 밝혔다. 북한사회 ...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IBS l2014.07.07
- telomere)는 그리스어로 끝을 뜻하는 텔로스(telos)와 부분을 뜻하는 메로스(meros)에서 유래한 용어로 말 그대로 염색체의 끝에 붙어있는 특정 염기서열을 일컫는다. 텔로미어는 그 자체에는 별다른 유전정보가 없지만 염색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생명 정보를 담은 DNA의 복제 ...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KISTI l2014.05.26
- Brain)’이라 한다. 데이빗 레비(David Levy) 미국 워싱턴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가 만들어낸 용어다. 2011년 6월 CNN을 통해 처음 소개된 ‘팝콘 브레인’ 증상은 컴퓨터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여러 기기로 멀티태스킹을 반복할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뇌에 큰 자극이 ...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는 인간과 침팬지의 공통조상에서 인간 쪽으로 갈라진 계열에 나타난 인류를 통칭하는 용어다. ‘진지(Zinji)’라는 애칭으로 불린 이 두개골은 180만 년 전 화석으로 밝혀졌는데, 훗날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라는 학명을 얻게 되고 인간의 직계조상은 아닌 것으로 결론났다(당시 이미 ...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동아사이언스 l2014.04.10
- 있는 것은 모두 인류를 위한 그의 발명 덕분이다. 현대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과학용어인 전력의 단위 와트(watt)는 그를 추모하여 이름 붙여진 것이다. 한 가지 아이디어가 곧바로 위대한 발명품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수많은 후속 혁신 작업들이 앞선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동아사이언스 l2014.03.24
- 다른 하나가 페이스북이다. 즉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과다(‘빅데이터’라는 멋진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와 SNS를 통한 집단 노출증이 투명사회를 만드는 원동력이 됐다는 것. 한 교수에 따르면 정보 사냥꾼이 된 현대인들은 “조급하며 삼갈 줄 모르고” 따라서 “사물이 숙성하게 놓아두지 않고 ... ...
이전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