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계"(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게 명당, 통계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310
- 손님은 많지 않을 거예요. 따라서 반드시 유동인구를 알아봐야 해요. 유동인구는 ‘그 가계 앞을 지나는 사람 수’예요. 물론 배달을 중점적으로 한다면 유동인구에 영향을 받지 않아요.유동인구는 그곳을 지나가는 사람의 수를 세거나,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어요. 그런데 ... ...
- 안젤리나 졸리는 왜 유방제거수술을 받았나과학동아 l201306
- 돌연변이일 것으로 추정했다.메리-클레어 킹 미국 UC버클리의 교수는 유방암 환자들의 가계도를 바탕으로 게놈을 분석한 결과 17번 염색체에 관련 유전자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1990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그러자 세계 곳곳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유방암 유전자 사냥에 뛰어들었고 1994년 ...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과학동아 l201211
- 처음 들여온 암수 한 쌍에서 나왔기 때문에 유전적 다양성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가계도 참조). 그렇다고 조류의 특성상 성체가 된 따오기를 중국, 일본에 있는 따오기와 교류하는 것도 쉽지 않다. 성체가 된 따오기는 서식하는 곳이 갑자기 바뀌면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처음 중국에서 ... ...
- 장수비결, 자르면 오래산다과학동아 l201210
- 養世系譜)는 세계에서 유일한 거세된 남자들의 족보다. 양세계보에는 내시 777명의 가계도 기록이 있다. 이 족보는 이윤묵(1741-1816)이 만들었으며, 윤득부를 시조로 한다. 자식을 낳을 수 없는 내시들에게 왜 족보가 필요했을까. 양세계보의 서문은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있다.“아! 길러준 은혜도 ...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208
- Eohippus)에서 현생 말(Equus)까지 일직선으로 나열해 전시했고 이를 본 대중들은 말의 가계도가 진화의 증거일 뿐만 아니라 ‘점진적인 직선형의 진화’로 인식했다. 이 모델은 곧 생물교과서에도 실리기 시작했다.하지만 1920년대 이후 발견된 엄청난 양의 말 화석을 통해 현재 말은 매튜가 제시한 ...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과학동아 l201204
- 이 얘기를 듣고 흥미를 느낀 스위스 바젤의대의 피부학자 피터 이틴 교수는 이 여성의 가계를 조사해봤다. 그 결과 친척 가운데 무지문증인 사람이 9명이나 됐다. 이들 모두는 태어나면서부터 지문이 없었다.무지문증이 유전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이틴 교수는 이 증상에 ‘입국지연병(immigration delay ...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203
- 가능해지자 연구팀은 어리둥절해졌다. 연구진은 어찌된 일인지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가계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연습 후 동작이 가능해진 학생들은 원래부터 혀 비틀기가 가능한 유전형을 가지고 있었다.연구팀은 이를 ‘잠재 유전자’라고 표현했다. 잠재 유전자는 같은 열성 유전인 ‘혀 ...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수학동아 l201201
- 전망을 지수화한 소비자심리지수도 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한국은행이 현재 생활 형편, 가계 수입 전망, 소비 지출 계획 등 소비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지수 6개를 선택해 만든 종합지수다. 최저 0에서 최고 200으로 구성돼 있는데, 100보다 높으면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수학동아 l201201
- 답은 1234567900987654321이 된다.제3코스 자료를 조작했는지 알려 주는 파수꾼, 1기업의 가계부에 해당하는 대차대조표를 보면 재미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1로 시작하는 경우가 전체의 약 30%를 차지한다는 사실이다. 각 숫자가 나올 확률은 숫자 1부터 9까지 동일하게 100÷9≒11.1%가 나와야 한다. ... ...
- 수학실력이 경제성장률을 높인다수학동아 l201110
- 미국 인터넷 매체인 허핑턴 포스트가 8월 17일에 보도했다.GDP는 한 나라에서 기업, 정부, 가계 등 모든 경제활동 주체가 벌어들인 소득이다. 연구진은 각국 중 3 학생들의 2009년 국제학업성취도 평가(PISA) 점수를 토대로 수학실력을 기초, 능숙, 고급 3단계로 나눠, 이 중 능숙 이상의 수준 학생들의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