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중"(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과학동아 l200402
- 위인은 물론이고 김검동, 김감불 같은 생소한 이름의 장인과 그런 이름조차 남기지 못한 민중의 흔적까지 고스란히 담겨있다. 청동기시대 농부에도 관심‘조선과학인물열전’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사람은 청동기 유물에 그 모습이 남아있는 밭가는 농부다. 열전이란 ‘여러 사람들의 개별적인 ...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과학동아 l200401
- 1세기 이집트 왕 프롤레마이우스 5세의 즉위를 기념하는 내용이 이집트 성각문자, 이집트 민중문자, 고대 그리스어로 적혀있었다. 이 로제타 석판을 판독한 사람은 장 프랑수아 샹폴레옹이었고, 그때 그의 나이 22세였다. 로제타 석판에 적혀 있던 고대문자는 판독되기 전까지 하나의 그림일 ... ...
- 우리 삽살개과학동아 l200112
- 할만하다. 책의 첫장을 열면 한국개의 기원과 한국 토종개에 대한 연구에서, 역사와 민중 속의 삽살개, 토종개의 수난과 삽살개 보존과정 등이 펼쳐진다. 이렇게 목차만을 살펴본 사람이라면 조금은 딱딱한 연구서를 떠올릴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책은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간다.개의 ...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과학동아 l200108
-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의 연구실을 봐도 곧 확인할 수 있다. 초등학교때 상으로 받은 민중서관 영한사전이 30년이란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깔끔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어느 곳에 흐트러진 종이 하나를 발견할 수 없으니 말이다. 소문에 따르면 대학교때는 지갑에 1천원, 5천원, 1만원짜리가 순서대로 ...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과학동아 l199912
- 하얀 잎은 맛도 좋지/ 배고픈 날 가만히 따먹었다오/ 엄마 엄마 부르며 따먹었다오”하는 민중가요에서도 이 추억을 볼 수 있다.붉은 찔레꽃은 없다하지만 백난아의 '찔레꽃'에는 한가지 어색한 점이 있다. 찔레꽃에는 연분홍과 흰색꽃은 있지만 붉은 꽃은 없기 때문이다. 광릉수목원의 이유미 ...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과학동아 l199907
- 관념을 지워내는데 얼마의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 운주사가 한과 저항을 녹여내는 민중들의 안식처라면 그 안식의 힘을 설명하는데 한층 더 신중하고 철저해야 한다. 우리가 과학을 버리고 독단과 과장으로 나아갈 때 천불천탑이 약속한 미륵의 새세상은 결코 오지 않을 것이다.사라진 불탑 ... ...
-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과학동아 l199905
- 과학문맹 퇴치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김용관은 과학조선에 게재한 ‘과학의 민중화’라는 글에서 “우리 조선과학계도 각 전문 대가가 통속(대중)저술에 힘쓰고 통속강연회를 개최하는 동시에 통속과학잡지가 있어야 그 전도가 점차 발전될 것”이라며 과학대중화의 중요성을 역설했다.1934년 2월 ... ...
- 1. 프랑스혁명이 탄생시킨 미터법과학동아 l199805
- 벗어나자는 혁명의 정신을 반영하고 있었다.그러나 거센 반대의 핵심은 교회보다 민중들에게 있었다. 이 법안을 따라 공공 업무와 공공 시설들은 10요일에는 모두 쉬도록 조치되었지만 사람들은 7일마다 쉬던 것을 10일 마다 쉼으로써 휴일이 1년 동안 52회에서 36회로 줄어드는 것을 싫어했다. 결국 ... ...
- Ⅳ. 4인의 프리즘으로 본 포항공대과학동아 l199611
- 더욱 분주해진다. 한울림 방에서 울려 나오는 바이올린과 첼로 소리, 한아패들이 부르는 민중가요 소리, 애드림 방에서 들리는 연극대본 외는 소리, 삶터 방에서 샘솟는 장구와 꽹과리 소리, 그리고 소리는 작지만 음악가락만큼 아름다운 풍경들을 그려내는 게르브와(미술동아리)들의 도화지 구기는 ... ...
- 삽살개과학동아 l199401
- 있다. 조선시대로 들어오면 그림 시 민화 민담 등 여기저기에서 삽살개들이 등장하는데, 민중의 삶에 밀착된 토착동물로서의 삽살개를 실감케 해준다. 실로 삽살개는 우리 조상들의 삶의 애환에 깊이 연루된 우리 모두의 오랜 친구인 것이다. 그런데, 이 땅에서 그토록 오랫동안 끈질긴 삶을 영위해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