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테이프 등으로 매우 간단해서 많은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요. 지난 2015년 11월 18일에는 미국 뉴멕시코주의 화이트 샌즈 사막에서 7명의 사람들이 에어로센을 타고 2시간 15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어요. 화석 연료나 태양 전지판, 헬륨, 배터리 없이 오직 공기만을 이용해 가장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파리를 죽이는 유독식물 파리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곳을 소독하는 효과도 있어서 파리풀 전체를 빻아 벌레 물린 곳에 바르기도 했답니다. 9월엔 파리풀 꽃이 서서히 지면서 열매가 맺히기 시작해요. 이때 열매는 가시처럼 생겨 사람이나 짐승의 털에 아주 잘 달라붙지요. 그러면 열매가 더 멀리까지 이동해 다른 곳에 씨를 뿌려 번식할 수 있답니다 ... ...
- Part 2.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꼭대기까지 빠르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속도도 훨씬 빨라져야 한답니다. 롤러코스터 속도로 움직이는 초고속 엘리베이터지난 6월 일본의 엘리베이터 기업 히타치제작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를 설치했어요. 중국 광저우시의 고층 종합 빌딩 ‘CTF 광저우 금융 센터’의 엘리베이터로, 최대 속도는 무려 1분당 1260m(시속 75.6km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엘리베이터 연구를!(일본 시즈오카대학교 기계공학부 요시키 야마기와 교수) 지난해 12월 일본 시즈오카대학교 기계공학부 요시키 야마기와 교수팀은 두 대의 초소형 위성을 우주로 보냈어요. 우주 엘리베이터에 대한 기초실험을 위해서지요.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알아볼까요? Q. 초소형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된 이유는 서울 도심지까지 많은 수가 날아왔기 때문이에요. 하늘소가 도심지에 나타난 7월 말, 서울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요? 하늘소가 도시에 나타났다는 민원이 처음 접수된 7월 20일은 그믐달이 뜨는 시기였어요. 그믐달은 왼쪽이 둥근 눈썹 모양으로, 새벽녘에 잠시 보였다가 해가 뜨면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지구상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한 무인도를 찾아왔어요. 그중 1쌍이 번식에 성공하여 어린 새 1마리를 키운 후, 6월에 다른 곳으로 떠났지요. 올해는 5월 초 같은 섬으로 돌아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쌍이 번식에 성공했답니다. 위 사진의 어미가 품고 있는 새끼가 올해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뿔제비갈매기지요. 뿔제비갈매기는 193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무엇을 전하겠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어요.원자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1766년 9월 6일에 태어난 영국의 화학자 존 돌턴이에요. 돌턴은 두 원소가 결합할때 일정한 질량 비율을 이룬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그는 이런 규칙이 성립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연구해 1803년 ‘원자설’을 발표했지요 ... ...
- Part 4. 로프 없는 엘리베이터, ‘MULTI’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로프를 없앤 거예요. 대신 자기부상열차 기술을 활용했지요. 그리고 지난 2017년 6월 드디어 시제품이 공개됐답니다. 자기부상열차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두 가지 기술이 필요해요. 하나는 레일 위에 떠 있어야 하고, 그 다음엔 레일을 따라 앞으로 나아가야 하지요. 레일 위에 떠 있기 위해서 ‘ㄴ’, ... ...
- Part 1. 하늘소, 서울을 습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건 처음이지요. 하늘소는 몸 길이가 5~6cm 정도이고, 몸 전체가 흑갈색이에요. 성충은 6~8월에 출현하고, 주로 밤나무나 참나무 같은 활엽수의 수액을 먹고 살지요. 이처럼 하늘소의 먹이나 산란 장소, 유충의 보금자리가 되는 나무를 ‘기주식물’이라고 한답니다. 사람들은 나무에 피해를 준다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있을 유(有)’는 오른손을 본떠 만든 ‘또 우(又)’에 고기를 나타내는 ‘육달월(月=肉)’이 합쳐진 한자예요. 오른손에 고기를 들고 ‘고기가 여기에 있다’라고 말하는 모습에서 유래됐답니다. 덧붙여서 달(月)을 손으로 가리키며 ‘달이 떠 있다’라고 말하는 모습이라는 해석도 있어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