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익명"(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실제 돈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쓸 수 있거든요. 2009년 익명의 일본인 ‘나카모토 사토시’에 의해 개발된 비트코인은 암호화된 문제를 풀면 누구나 발행할 수 있는 가상화폐예요. 비트코인을 얻기 위해 문제를 푸는 걸 ‘채굴’이라고 해요. 이때 채굴해야 하는 문제는 수십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10
- 논문저자조작 사건을 가까이에서 목격한 E 연구원은 “졸업 후에라도 제보할 수 있는 익명의 신문고가 있고, 처벌이 강력하면 좋겠다”며 “저자권을 지켜주는 일은 사회약자 보호이자, 사회정의 실현”이라고 말했다.3. 기관마다 연구윤리 전담관리자를 둔다이인재 교수는 “각 기관마다 연구윤리 ... ...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기자교육 드디어 밝혀진 섭섭박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06
- 이번에는 특별히 섭섭박사님이 친구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는 시간도 마련됐어. 고민을 익명으로 써서 풍선에 넣으면 섭섭박사님이 만든 빨대바람총으로 고민풍선을 팡! 터뜨리면서 고민도 팡팡! 해결해 주는 시간이었지.“어떤 걸 기사로 써야할지 모르겠어”와 같은 기자로서의 고민은 물론, ... ...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05
- 그렇다면 모든 수학 문제에 계산기가 도움이 될까요?역시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의 한 중학교 선생님은 “계산기를 쓰면 학생들의 계산 능력은 분명히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수학 실력이 떨어진다고 말할 순 없지만, 계산력은 약해진다는 이야기입니다.하지만 전 ...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04
- 2011년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피해가 확산되자 서서히 올라 겨우 예전 규모를 되찾았다. 익명을 요구한 취재원은 “병해충 방제는 3~4년 동안 꾸준히 같은 규모로 해야 효과가 나타난다”며 “1~2년 안에 압축적으로 하면 될 거라고 생각하는 건, 정말 행정적인 계산일 뿐”이라고 귀띔했다. 현장 ... ...
- [수학뉴스]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발표,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까?수학동아 l201504
- 종합계획에 참여)그러나 새로 발표된 수학교육 종합계획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 시내 모 중학교 수학교사는 “수업을 활동 중심으로 바꾸도록 강조하지만 평가방식은 기존의 중간, 기말고사 방식으로 할 수밖에 없는 게 수학교육 정책의 한계”라고 비판했다.“과정 중심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02
- 버 스를 타고 부산을 가는 것이다. 속 도는 무척 느리겠지만 보안은 거의 완벽에 가깝다.익명성과 보안이 생명인 해커가 토르를 가만히 놔둘 리가 없다. 개 인정보 보호라는 원래 의도와는 상관없이 사용자 중 절반 이상이 사이버 범죄와 해킹을 위해 토르 를 사용하고 있다. 2013년 6월 25일 청와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벤처에 ‘후츠파’하라! (이스라엘의 도전정신)과학동아 l201502
- 지도에 표시하고, 주위에 있는 다른 버블시티 이용자를 보여줍니다. 주위 사용자와는 익명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서울대에서 버블시티를 사용하면 서울대 학생과, 이화여대에서는 이화여대 학생과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기존 SNS에서는 할 수 없는, 모르는 사람과 솔직한 이야기를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01
- 그리고 곧 맞닥뜨렸다. 말로만 듣던, 북미에 종종 출몰하는 거대한 괴물인 빅풋(bigfoot)을. 익명을 요구한 목격자의 말에 따르면, 그들로부터 7m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키가 2.5m에 달하고 곰처럼 어두운 빛을 띠는 생물체가 무릎을 굽혀 죽은 동물을 위에서 굽어보고 있었다고 한다. 이 생물체의 ... ...
- Part 1. 우롱이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01
- 갈대밭의 삵!한강 갈대밭에 ‘커다란 고양이’가 나타나서 화제다. 강변 아파트에 살던 익명의 비둘기는 “줄무늬가 있는 노란 고양이과 동물이 주변의 새를 공격했다”며, “평소에 보던 고양이와는 얼굴 생김새와 몸놀림이 달랐다”고 전했다. 안타깝게도 새가 어떻게 됐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