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투
d라이브러리
"
잠입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밀가루가 폭탄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7
어쩌다 보니 비슷하게 된 거라구!”백설귀 씨가 시시때때로 옥토끼 방앗간에
잠입
해 송편해 씨의 30년 비법을 알아 내려고 하면서 송편해 씨와 백설귀 씨의 갈등은 더욱 커져만 갔다. 그러던 중 송편해 씨가 도저히 참지 못할 사건이 벌어졌다. 송편해 씨가 떡배달을 하러 갔다 온 사이, 자신의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03
달의 동쪽이 밝고 서쪽이 이지러져 어둡다. 그러므로 안타레스는 달의 밝은 쪽에서
잠입
해 어두운 쪽에서 나타난다.맨눈으로도 밝은 별이 달 바로 옆에 바짝 붙어 있는 장관을 즐기기에 그리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물론 쌍안경이 있다면 최고의 장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이라이트는 안타레스의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12
사실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서서히 달에 접근하던 별은 달의 동쪽편인 밝은 부분으로
잠입
해 사라진다. 약 1시간 뒤인 6시 30분 경이 되면 달의 어두운 부분인 서쪽에서 다시 별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하늘이 밝아올 것이다.성식은 맨눈이나 쌍안경, 망원경으로도 관측할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7
깊은 잠에 빠져 있었다. 그렇다면 정말로 감옥에 있던 아르센 뤼팽이 탈옥한 뒤 이 성에
잠입
해서 그림들을 훔쳐갔다는 말인가.1백년 전 고안된 지문확인법이 사건의 첫번째 의문은 감옥에 있는 아르센 뤼팽이 이 사건에 실제로 개입한 것인지, 아니면 제3의 인물이 뤼팽을 사칭해 저지른 범죄인지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08
그러는 사이 삽시간에 고려청자가 나왔다는 소문이 퍼졌고, 서울에서 전문 도굴꾼들이
잠입
해 유물들을 빼돌린 것이다.비안도 앞바다 현장 경비를 강화한 수중탐사팀들은 바다 속으로 들어가 유물을 건져 올리기 시작했다. 수중 인양은 과거 수중조사 경험이 있는 해양유물전시관 학예직들이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07
결국 불개미굴이 기생개미 차지가 된다. ARS 연구자들은 기생개미가 불개미굴에만
잠입
한다는 것이 밝혀지면 다른 생물에는 피해를 주지 않고 골칫거리만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또 다른 전술은 불개미 집단이 스스로 무너지게 만드는 것. 미국 조지아대의 마이클 크리거, 케니스 로스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03
예측된다. 따라서 토성이 달에 가려져 있는 시간은 32분 간이다. 정확한 시간과 토성이
잠입
하는 달의 위치는 관측 지역에 따라 많이 다르다. 대개 북쪽지방으로 갈수록 식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어지고, 남쪽지방으로 갈수록 시간이 짧아진다.이날 토성은 달의 아래쪽, 즉 남쪽 부분으로 사라진다.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
과학동아
l
200111
적임자로 선정된다. 특수 작전에 필요한 성공의 열쇠는 은밀하게 알카트라스에
잠입
하는 것이었다. 악명이 높았던 감옥 알카트라스는 탈출이 어려웠던 만큼, 은밀하게 침투하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에 FBI는 역사상 유일하게 알카트라스을 탈출했던 일급 죄수 존 메이슨에게 협조를 ... ...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10
고리를 제외한 본체가 가려지는 시간은 이 중 절반 정도다. 정확한 시간과 토성이 달에
잠입
하는 위치는 관측지역에 따라 많이 다르다. 그러므로 앞에 언급한 시간을 기준으로 10여분 정도 가감해서 미리 준비해야 한다.토성은 이날 달의 아래쪽, 즉 남쪽 부분으로 사라진다. 토성의 위치는 달의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10
변환을 한다. 이렇게 변환된 신호를 컴퓨터로 읽어내면 된다. 배경 줄이려 지하 속으로
잠입
그런데 윔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광자의 수가 매우 작다는 문제가 있다. 작은 수의 광자를 하나하나 세어보면 얼마의 에너지를 잃어버렸는지 알 수 있다.저온 검출기의 경우는 어떨까. 저온 검출기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