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학부"(으)로 총 26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05
- 이타성의 진화를 수학적 이론으로 만들겠다는 뜻을 품은 윌리엄 해밀턴은 자신의 뜻을 펼치기 위해 공부를 시작했다. 하지만 자신을 이해해 주는 사람은 없었고, 가르쳐 줄 사람도 찾기 어려웠다. 그렇게, 혼자만의 공부가 시작됐다.1950년대 후반, 케임브리지대의 학부생 윌리엄 해밀턴은 자신에게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01
- 생물학계의 난제에 도전하게 된 배경이 궁금해요.생체시계는 24시간마다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화학반응이에요. 그런데 온도가 높아져도 다른 화학반응과 달리 속도가 일정해요. 화학반응을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내면 그 해는 주기를 갖고 있어요. 그런데 온도와 관련된 매개변수의 값이 크면 해의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01
- ‘Dance your Ph.D.(당신의 박사학위로 춤추라)’ 대회의 올해 우승자가 발표됐다.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주최하는 이 대회는 박사 과정을 공부한 사람이 자신의 전공 분야를 춤으로 표현해 경쟁하는 대회다. 물리학, 생물학, 화학, 사회과학 등 총 4개 부문의 우승자 가운데 3명을 e메일로 인터뷰했다.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12
- 서울 모 대학원 피해학생 심층인터뷰대학원 실험실(랩)을 고르는 과정에서 고민이 많았다. 학부 때부터 친하게 지내던 박사과정 선배들은 한사코 자기 랩에 오지 말라며 손사래를 쳤다. 어떤 랩이 좋은지 정보를 얻기 힘들었다. 마침 관심 있는 주제를 연구하는 랩에서 인턴을 뽑아 지원했다. 인턴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12
- 1977년 처음 개봉한 스타워즈 시리즈는 당시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에 메가톤급의 ‘상상력 폭탄’을 터트렸다. 우주선과 레이저총, 광검 등 당시로선 상상조차 하기 힘든 첨단기술과 일종의 초능력인 포스를 융합시킨 설정은 SF영화의 신기원을 열었다. SF영화는 스타워즈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말 ...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10
- UNIST 자연과학부 스티브 그래닉 특훈교수는 매년 10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산하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의 단장이다. 올해 4월 말에는 미국 국립과학원(NAS) 회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대부분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세계 최고 권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10
- 헤이그 특사로 잘 알려진 독립운동가 이상설이 집필한 수학교재 의 원본이 최근 오랜 수소문 끝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고문서 틈에서 발견돼 세상에 공개됐다. 이 책은 19세기 말에 쓰인 수학책으로, 한국의 전통 산학과 오늘날 배우는 현대 수학의 연결고리와 같다. 불꽃같은 독립운동가였을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10
- 생물학 · 의학분야 연구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생물학연구정보센터(이하 브릭)’가 지난 7월 이용자 116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논문 저자권 관련 진단’ 설문조사를 보자. 전체 답변자의 48%가 “최근 3년간 저자 순서교체나 저자 끼워넣기 등 연구 부정행위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바로 옆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08
- ‘일반상대성이론의 우주론적 고찰’. 1917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논문이다. 우주의 탄생과 변화를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밝힐 수 있다는 점을 처음 발견한 순간이다. 아인슈타인 자신은 비록 풀이를 찾아내지 못했지만, 프리드만, 드지터, 톨만, 로버트슨, 월커 등 과학자들이 1920~1930년대에 걸쳐 풀 ... ...
-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과학동아 l201507
- Q 건설환경공학부에서는 어떤 공부를 하는가건설이 들어가는 학과가 많아 정확히 어떤 공부를 하는지 감이 안 올 거예요. 건설환경공학부는 도로나 다리, 수로처럼 우리 생활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학부입니다. 건물을 짓는 것과는 조금 다르죠. 예를 들어 도로 공사를 한다고 해볼게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