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튜브"(으)로 총 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6
- 훗날 머리를 형성할 부분에서 엉덩이까지 길게 이어져 있죠. 예상한 분들도 있겠지만 이 튜브는 우리가 생각하고 움직이고 느끼는 데에 아주 중요한 중추 신경계로 발달합니다. 엄마가 미처 임신 사실을 알기도 전에, 배아가 뇌와 척수를 만들 준비를 해놓은 셈이죠.수정 후 3주째 정도가 되면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05
- 확인하는 나노와이어 위조방지 기술이나, 물을 정화하고 식품 상태를 판별하는 탄소 나노튜브 기술 등 수많은 연구 성과가 발표되고 있다.작년 노벨화학상의 주인공인 ‘분자기계’처럼 적극적으로, 원하는 나노분자를 설계해서 만들 수도 있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화학반응으로 몇 종류의 분자를 ...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과학동아 l201705
- 강도는 강철보다 세다. 게다가 구리보다 전기를 잘 전달한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고밀도로 집적해도 균일하게 작동하면서 서로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신경모방소자를 만들었다.이 소자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사람의 두뇌에서 시각정보 처리를 담당하는 신경망의 학습 ... ...
- [포토 뉴스] 초고속 진공 열차 ‘하이퍼루프’ 테스트 현장 첫 공개과학동아 l201704
- 제안한 미래형 운송수단이다. 하이퍼루프의 기본 원리는 진공에 가깝게 기압을 낮춘 긴 튜브에 사람이 탑승한 유선형 동체를 부상시켜 주행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속도를 시속 1200km까지 낼 수 있다. 사진은 하이퍼루프의 작동을 테스트하기 위한 튜브(지름 3.3m)로, 모두 연결하면 길이가 500m에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04
- 머티리얼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식물의 뿌리를 이용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입자를 주입했다. 이 입자는 적외선 파장을 내뿜는데, 질화방향족과 결합하면 파장이 변하기 때문에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감지할 수 있다.질화방향족이 포함된 지하수가 해당 식물을 통과하게 되면 ... ...
- [과학뉴스] 날숨만으로 후두암과 위암 진단과학동아 l201703
- 날숨 샘플을 수집했다. 그리고 이 샘플을 소량으로도 성분을 검사할 수 있는 이온 플로우 튜브 질량분석기로 분석했다. 그 뒤 위암 또는 식도암 환자에서 검출된다고 알려졌던 부티르산, 부틸 알데하이드, 데칸알 등 5가지 화학물질을 지표로 사용했다. 이 화학물질의 수치가 높은 사람을 암 위험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여러 개 만들 수 있다. 이것으로 3진법 상태를 구현하겠다는 것이다.하지만 탄소나노튜브의 두께 자체가 nm단위로 워낙 얇아서 0.1nm 단위로 정교하게 조절해야만 하는데, 관련 기술이 아직은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집적회로 안에 들어 있는 약 1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일일이 정밀하게 조정해야 ... ...
- Part 2. 얼마나 가볍고 튼튼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하지만 최근에는 튜브를 없애고 타이어 자체에 공기를 넣는 방식도 나왔어요. 바로 ‘튜브리스 타이어’로, 펑크가 덜 나고 승차감도 좋아서 인기를 끌고 있지요. 또 타이어 속을 공기가 아닌 고무로 채워 펑크가 나지 않는 ‘노펑크 타이어’도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과학뉴스] 고무로 만든 인공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통해 공기를 빼면 튜브 안의 기압이 낮아지면서 튜브 안의 구멍이 쭈그러들지요. 그러면 튜브의 길이가 줄어들어요. 반대로 공기를 넣어 주면 구멍이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며 길이가 늘어난답니다. 마치 사람의 근육처럼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며 움직이는 거예요. 별도의 장치 없이 고무와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12
- 추정되는 동그란 기공과, 추후에 분화 단계에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원형이나 튜브 모양의 기공이 동시에 발견된 것이다. 손 교수는 “화산 심부에서 마그마가 올라오며 기공이 형성될 때 적어도 두 단계에 걸쳐 기공이 만들어졌다는 뜻”이라며 “이런 작용이 백두산의 폭발력을 키웠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