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제"(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비결은 강화학습에 있다. 강화학습은 인공지능(AI) 기술의 한 종류로, 주어진 환경 안에서 과제를 가장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을 스스로 찾도록 이끈다. 아기가 걷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도 강화학습으로 설명할 수 있다. 걸음마를 배우는 수개월 동안 아기는 넘어지기를 반복한다. 넘어지면 아프다.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해석해야 합니다. 제대로 된 소리 데이터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쇠돌고래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40Hz 수준의 저주파부터 200kHz(킬로헤르츠・1kHz는 1000Hz)에 달하는 고주파까지 넓은 범위의 주파수를 사용하죠. 장 대표는 “지금까지 모은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열심히 지원서와 제안서를 써냈지만, 계속해서 연구과제 선정에 탈락한다. 반면 원하는 과제를 수주하는 데 성공한 건너편 연구실은 축제 분위기. 침울한 김공룡 박사에게 ‘어쩔 수 없다’는 친구의 위로 아닌 위로가 돌아온다. 삼엽충 연구가 돈이 안 되는 게 문제라고?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이란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르는 각 원소의 기원, 우주에 없는 새로운 원소의 발견과 같은 핵물리학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려 한다. 이를 위해 현재는 검출기 개발과 해외에서의 실험 수행에 주력 중이다. 개인적으론 지르코늄-80이란 희귀동위원소의 핵 구조 연구를 위해 이화학연구소의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한 실험을 준비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장비도 무사히 고쳐야하고, 지도교수 강의 보조도 해야한다. 대학원 수업을 듣고, 수업 과제를 하고, 시험을 쳐야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공부와 연구의 결정적인 차이점 크고 작은 산을 건너야 하는 대학원에서 하이라이트는 ‘연구’다. 연구는 공부와 다르다. 작가는 “공부는 정답이 무엇인지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굿노트를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했던 마지막 학기에는 정말 쉬운 과목만 골라서 듣고 과제나 시험은 최소한으로 준비했어요. 초기 버전을 만들기까지 5개월이 걸렸어요. Q. 2011년 굿노트를 출시한 다음에는 어떻게 지냈나요? 처음 5년 동안은 혼자서 코딩, 고객 지원, 마케팅 등 모든 일을 다 ...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목재를 활용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국립산림과학원의 2023년 연구과제 제안에서도 목재의 고부가가치 활용을 높이는 목적으로 나무 인공위성 아이디어가 나왔다. 최종 선택을 받진 못했지만 말이다. 산림청에서는 현재 목재를 북극, 남극, 심해 등 극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 ...
- [과학뉴스] 기니개코원숭이, 나한테 간식 안주면 나도 안줌! 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어떤 선택을 하는지 볼 수 있었죠. 연구팀은 95일간 153쌍의 기니개코원숭이가 짝을 이뤄 과제를 수행하는 모습을 24만 8616회 촬영했어요. 영상 분석 결과, 짝이 간식을 받을 수 있도록 선택한 기니개코원숭이는 나중에 다른 동료의 선택으로 함께 간식을 받을 확률이 높았어요. 반면 상대가 이전 ... ...
- [마이보 의 과학 영상 읽어줌] 로봇은 어떻게 안넘어지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을 전시하고, 가장 망한 과제에 ‘마상’을 주는 망한 과제 자랑 대회가 열렸지요. 실패를 공유한 카이스트 학생들에겐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누구나 겪었을 법한 실패 이야기와 카이스트 실패연구소장의 야심 찬 포부를 확인해 보세요! 목성이 지구를 구했다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경험을 통해 이제는 실패를 빠르게 극복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습니다. “저는 인생의 과제, 건강관리에 실패했습니다.” 마지막 연사인 문진우(KAIST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씨의 이야기는 조금 무거운 분위기에서 시작됐습니다. 문 씨의 말투에 웃음기가 묻어났지만 쉽게 웃을 수 없었던 이유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