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끄트머리"(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노트] 찰나의 순간 목숨을 앗아가는 감전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추정됐다.다음으로 머리를 살펴봤다. 정수리 부위에 전류반이 형성돼 있었다. 양철 지붕 끄트머리의 단면 모양으로 손상이 됐고, 가장자리에는 물집이 있었다. 시체에 남아 있는 흔적으로 볼 때 변사자의 감전 과정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변사자가 최초 감전될 때는 전기가 물에 젖은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석순, 여러 돌탑과 간이 사당 등을 찾을 수 있었다. 프라야 나콘 동굴은 태국 국토의 끄트머리에 자리하고 있고 찾아가는 길이 험난해 한국인은 커녕 현지인에게도 많이 알려지지 않은 명소라고 한다. 하지만 대원들에 따르면 ‘힘든 등산의 보상’이 기다리고 있으니 태국에 갈 기회가 있다면 꼭 ... ...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단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학, 특히 기초과학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비밀의 끄트머리를 더듬어 찾아가는 길이다. 표를 얻기 위한 수단은 더욱 아니다.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사업 구상 10년 만에 얼마 전 본격적으로 구축에 들어갔다. 땅을 파고, 가속관이 들어갈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냥 제비 뽑기로 하기로 했어요. 이게 가장 공평하잖아.”사람들이 나무젓가락 끄트머리 모습만 보고 반대쪽이 부러져 있을 지 안 부러져 있을 지 짐작하는 기술을 서로 겨루어 내일의 운명을 결정하는 방식이 도대체 어떤 면에서 공평하다는 것인지 김 박사는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별다른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교수팀은 신기한 현상 하나를 발견합니다.doi:10.1038/nature09819 혹스 유전자 집단의 가장 끄트머리에 있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낮추면 유전자 집단의 뒷 부분에 위치한 혹스 유전자들(HoxA 11과 HoxA 13)이 제대로 발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요. 닭의 배아의 경우에는 몸통에서 먼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일인가. 알았어. 어차피 내일은 또 같이 먹을 텐데 뭐. 그럼 수고하라고.”노마는 바지 끄트머리를 질질 끌며 멀어져가는 유청을 물끄러미 쳐다보았다. 그는 두 번 다시 유청과 점심을 먹을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차마 그 얘기는 입 밖으로 꺼낼 수가 없었다.*노마는 특별한 손님을 맞이할 ...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태양계 끄트머리에서 유유자적하던 얼음덩이였다. 그게 태양으로 떨어지며 혜성이 된 것은 무거운 천체의 ‘밀당’ 때문이다. 태양계 안에서도 행성들의 “이리와봐” 타령은 계속되어 혜성은 온몸이찢기기 십상이다. 혜성을 만들고 죽이는 사랑의 경계선을 알아보자.1500년 만에 돌아오는 혜성이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직도 군데군데 남아있는 가로등의 잔해를 슬쩍슬쩍 드러냈다.모두 목이 꺾여 있었고 끄트머리의 발광체는 밀로그리드의 짐승들이 오래 전에 핥아먹어 없었다.멀쩡하게 남아 있는 문명의 흔적은 누군가가 가로등 뿌리에 묶어 놓은 시카고 왕국의 깃발뿐이었다.길잡이는 헬멧의 쌍안경으로 ...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경기도 수원 근처에 있는 수인산업도로변에서 발견됐지만 곧 사라졌고, 우리나라 동쪽 끄트머리인 울릉도에서 발견됐지요.이 때문에 연구자들은 1년 내내 끊임없이 귀화식물을 찾고 조사하기 위해 연구 구역을 지정해요. 그리곤 계절마다, 그리고 해마다 식물 분포가 어떻게 바뀌는지 조사해요.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충돌하는 지점에 있다. 이들은 매년 5cm씩 가까워지며 서로를 민다. 그 결과 인도판 끄트머리 땅 이 밀려올라가면서 오늘날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땅 이 됐고(바로 네팔이다), 두 판의 경계에 생긴 히말라 야 산맥은 오늘날까지도 솟구치고 있다.이번 지진은 피해가 유독 컸다. 전문가들은 ‘규모’ 와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