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럼펫
트럼핏
기적
호적
경적
호른
각적
d라이브러리
"
나팔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PDS/Crt1)가 파이토엔을 라이코펜으로 바꾼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 효소와 함께
나팔
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에서 파이토엔을 합성할 수 있는 파이토엔 합성효소(PSY)와 라이코펜을 베타카로틴으로 전환하는 효소(LCY-β·라이코펜 베타 사이클레이스)를 쌀에 넣으면 베타카로틴을 생산할 수 있지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대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말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답니다. ● 스토리 쿠당탕!
나팔
모양의 관으로 빨려들어갈 뻔했던 채윤이와 수호가 미션을 풀자 동굴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어요. 채윤이 일행은 곧바로 공중에서 떨어졌지요. 수호가 정신을 차리고 말했어요.“우리가 다시 동네로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바로 Y염색체를 갖고 있지만 여성으로 발달한 사람들이죠. 외부생식기는 물론 자궁과
나팔
관 역시 X염색체 두 개를 가진 일반 여성과 동일하지만, 난소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해 불임인 여성들이었습니다. Y염색체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어떻게 여성이 됐는지 의문을 가진 과학자들은 이들의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박을 때 쓰는 전동드릴처럼요. 이런 움직임은 정자가
나팔
관 속 액체의 흐름을 거슬러
나팔
관 안쪽으로 헤엄칠 수 있도록 합니다.작디작은 정자가 액체의 흐름에 휩쓸리기는커녕, 거슬러 올라간다는 게 믿기 힘들죠. 하지만 실험으로 확인된 사실입니다. 용기에 배양 용액을 담고 쥐나 인간의 정자를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교수는 “이를 이용하면 효과적인 피임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5.
나팔
관 엄친아 정자는 또 죽었어요. 파죽지세로 피임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망원경을 들며) 자세히 보니까 꼬리 모양이 좀 이상합니다. 꼬리가 위 아래로 힘차게 움직여야 하는데, 허리가 구부러진 것처럼 ... ...
Intro. 불임과 피임의 미싱링크 남성 생식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정자가 좀 비정상이라도 시험관 아기 시술 받으면 되지 않아요?”여성 피임약이 이렇게 좋은데 남성 피임약을 굳이 왜?”지금까지 불임과 피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이런 게 아니었을까. 정자와 난자가 염색체를 절반씩 내놓아 아기를 만드는 것임에도, 지금껏 생식은 난자, 즉 여성의 일로만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진동을 내면 거기에 연결된 파이프 안의 공기가 떨어 소리를 낸다. 커다란 연잎처럼 생긴
나팔
이 소리를 크게 증폭시킨다. 건반악기라 글래스하모니카보다 음계가 명확하고 연주하기 편하다. 4 레이저로 ‘보이지 않는 소리’ 연주하는 나노기타미국 코넬대 나노전자기계시스템연구실의 더스틴 ... ...
미스터리 3. 사막에 나타난 유령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같은 역할을 해서 모래알이 부딪히는 소리가 증폭된다는 걸 알아냈어요. 플루트와
나팔
같은 관악기의 소리가 얇고 긴 관을 지나며 커지는 것과 같은 원리지요.모래사막의 소리는 모래알의 크기에 따라 조금씩 달라요. 또 모래알이 부딪히는 속도에 따라서도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지지요. 손으로 ... ...
천적 불가사리 잡아먹는
나팔
고둥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생태계가 오염되고 사람들이 함부로 채집하면서 개체 수가 줄어들기 시작했어요. 결국
나팔
고둥은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었답니다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말을 가두고 물을 주지 않다가 3일 뒤 풀어줬다. 냇가로 달려가는 말들에게 멈추라는
나팔
을 불자 단 4마리의 말만 멈췄다. 이 말을 서로 교배했는데, 이들 4마리가 현재 아라비아 말의 시조라는 내용이다. 인간은 이렇게 경험을 통해 우량한 동식물을 골라 교배시켜 왔고, 유전법칙을 활용한 과학적인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