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병아리"(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백로와 갈매기가 드문드문 섞여있어 맥도강의 분위기를 더욱 독특하게 한다. 여름철에는 논병아리, 백로, 쇠물닭, 해오라기, 개개비를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길하나를 사이에 두고 오리와 기러기의 최대 서식지인 대저염막이 펼쳐진다. 1966년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대저염막은 ...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이는 물닭도 마찬가지. 이마가 흰 것이 특징인 물닭은 몸 전체가 진한 검은색이다. 논병아리와 물닭은 잠수해서 먹이를 잡기도 한다.탐사팀은 근처 정자로 이동했다. 이곳은 행정구역상으로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갈마리. 정자 옆에는 커다란 검은 돌들이 수북이 쌓여 있었다. 정자에서 만난 주민들은 ...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아침에 관찰된 새가 3만마리 이상이었다고 한다.검은머리 갈매기와 혹부리오리 뿔논병아리 등 보기 힘든 새들이 많이 관찰됐다. 약간 여유롭게 움직이던 탐사팀은 오후 4시 30분 다시 논산저수지로 향했다. 오후 5시 30분, 길이 막혀 아슬아슬하게 시간을 맞춰 논산저수지에 도착해보니 아침에 여러 ... ...
- 한강 개발 이후 조류생태계 급변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가동으로 한강물이 맑아지고 수심이 깊어져 어종이 다양해 졌다. 그 결과 잠수성 철새인 논병아리류 물닭 등 새 환경에 적응한 철새들이 몰려 종 수로는 70종에서 1백5종으로, 개체수로는 3만여마리에서 7만여 마리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10년간 관찰된 조류는 총 1백5종으로 월동하는 잠재적 ... ...
- 세계 최대 두루미의 낙원 이즈미과학동아 l1995년 03호
- 112) 개똥쥐빠귀(2) 물총새(1) 흰뺨검둥오리(277) 알락할미새(2) 비오리(4) 중대백로(3) 귀뿔논병아리(3) 등으로 모두 23종2천7백83마리였다.둘째날 아침에 후코오카에서 일본야조회 이사로 활동하는 쓰치야(土谷 光憲) 선생이 당일 하루 안내를 해주기 위해 찾아왔다. 당초 계획은 소네로 가서 탐사할 ...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청둥오리 재갈매기 등이다. 그밖에 까치 알락할미새 개재비 참새 집비둘기 황조롱이 논병아리 등도 많이 관찰됐다. 특히 한강의 조류는 월동조류가 전체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개체수(마리수)로는 80%를 차지하고 있다.과거와 비교해 볼 때 종수가 전체적으로 다양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종의 수는 훨씬 적었다. 기러기가 2천5백여마리 있었다. 또 댕기흰죽지 17마리, 귀뿔논병아리 2마리, 가마우지 6마리, 갈매기 10마리, 붉은부리갈매기 36마리를 관찰했는데, 이들은 B지구에는 없던 종이었다. 또 수풀을 날아다니는 맹금류 황조롱이를 발견한 것도 큰 수확이었다.이곳에서 탐사팀은 ...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청둥오리 붉은부리갈매기 알락오리 순이었습니다. 과거에 별로 없었던 바다철새인 논병아리류가 많아진 것은 주목할만한 일입니다.심상득 검둥오리사촌이 늘어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주목해야될 것입니다. 하구언 댐공사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조사하려면 하구언의 상류지역도 탐사해 조류상을 ... ...
- 남해안 철새도래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종의 바다철새를 볼 수 있었다. 특히 칠천도 앞바다에서 근래에 보기 힘들었던 검은목논병아리 1백50여마리를 발견한 것은 큰 수확.거제도 연안의 우점종은 아비류로 5백여 개체가 발견됐다. 윤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이 숫자는 해가 갈수록 줄어든다는 것. 아비는 가장 하등조류로 잘 날지 못하기 ...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수종에 한한 감수성 오리류와 수조류-댕기흰죽지 및 흰죽지는 1만2천2백에서 2만4천으로, 논병아리류는 1백50에서 1천7백50으로, 민물가마우지(일시 기착)는6에서 1천1백으로, 갈매기류는 2천8백에서 1만6천2백으로 각기 증가한 반면, 수면성 수금류-흑기러기는 3백에서 1백20으로, 고니류는 1천3백에서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