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3단계의 과정만 거치면 모든 식물의 원하는 부위에서 빛이 나도록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어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밝기가 약하다는 게 단점이죠. 현재는 밝기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 ...
- [논문탐독] 유전질환 스위치 OFF 후성유전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첫째, 손상된 DNA 부위에서 손상 부위만 제거하고 남은 나머지 부위끼리 이어지는 비상동 말단 연결을 억제합니다. 둘째, 손상되지 않은 다른 DNA를 이용해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상동 재조합을 촉진합니다. DNA 이중가닥이 손상된 세포의 상황에 따라, ATM 단백질의 이 두 작용 중 ...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외모가 인상적인 턱끈펭귄이야. 머리와 등, 꼬리까지는 검은색 털로 덮여 있고, 나머지 부위는 흰색 털이 나 있지. 우리는 키가 약 72cm, 몸무게는 6~7kg 정도 되는 중형 펭귄이란다. 턱끈펭귄은 남극해에서 가장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는 펭귄 중 하나야. 수명은 15~20년 정도고, 돌을 쌓아 올려 둥지를 ... ...
- [가상 인터뷰] 중세 바이킹, 현대인처럼 충치 치료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느껴지기 때문에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충치가 생기면 치과를 찾는다. 치과에서는 썩은 부위를 드릴로 파내고 구멍을 레진, 금 등으로 메운다. 치과가 없었던 중세 유럽의 바이킹들은 충치를 어떻게 치료했을까. 카롤리나 베르틸손 스웨덴 예테보리대 치의학 연구소 연구원팀은 2023년 12월 13일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활약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 하이퍼쉘 ⎪ 외골격 로봇은 다리, 팔, 허리 등 신체 부위에 착용해 근력과 안정성을 보강하는 장치다. ‘입는 로봇’이란 뜻의 웨어러블 로봇(Wearable Robot)이란 이름으로도 불리며 장애인의 이동 보조나 작업자의 근력 강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인다. 중국의 로봇 ...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젤레니츠키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고르고사우루스가 작은 먹이의 (살이 풍부한 부위인) 뒷다리만 먹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지금까지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의 성체는 일반적으로 거대 초식공룡을 먹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번 발견을 통해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은 ...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거야! 처음에는 작았는데 점점 더 커지더라고. 나는 매일 같이 거울을 들여다보면서 흰 부위가 퍼져나가는 걸 관찰했어. 교체 없이도 스스로 성장하는 것이 내 몸에 생겨나다니, 얼마나 신기했는지 몰라! 음? 근데 너 표정이 왜 그래?”미아의 갑작스러운 질문에 놀란 선이 당황하며 말했다.“아니,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전이 억제제도 있다. 암이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벗어나 혈액이나 림프계를 통해 다른 부위로 이동해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것을 전이라고 한다. 암세포를 죽이는 항암제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 등에서 종양의 성장을 막아 암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상태 악화를 막을 수 있다. 최근 ...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모형을 만들었다. 2006년부터 5년간 전국 소비자 4600명을 대상으로 근내지방도(마블링), 부위, 숙성 정도, 요리 방법 등 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다르게 한 소고기의 맛을 평가하는 조사를 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연한 정도인 연도를 55%, 혀에서 느끼는 맛과 냄새를 종합한 향미를 2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5개로 동일해요. 도롱뇽과 도마뱀은 아예 다른 분류지만, 공통점도 있어요. 바로, 신체 부위의 일부가 잘려 나가도 다시 생겨나는 재생 능력을 갖추었다는 점이에요. 도마뱀은 천적과 마주치면 꼬리를 잘라 버리고 도망칩니다. 잘린 꼬리는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꿈틀거려요. 그래서 천적이 꼬리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