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단
수
수사
최고 수준
최고 가격
수자직
새틴
d라이브러리
"
수자
"(으)로 총 44건 검색되었습니다.
존 홉킨즈대학에서 분리에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붙은 경우가 많다. 이런 쌍둥이를 샴쌍동이라고 부르는 것은 샴(태국의 옛이름)에
수자
가 많아서가 아니고 서양사람이 태국에서 처음보고 그렇게 이름을 붙인것이다. 사진은 독일태생의 7살된 패트릭과 벤자민의 분리수술장면. 수술은 미국의 '존 홉킨즈' 대학에서 지난 9월에 실시됐다. 이 ... ...
소련 과학아카데미 알력심해져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서방세계에는 '소련에다 다수 후보자가운데 책임자를 비밀투표로 결정하는 유일한 기관'으로 알려진 소련과학아카데미가 최근 '비민주적'이라 ... 소련 최고수준의 연구·조사를 하고 있으며 아카데미와 관련돼 일하는 사람의
수자
까지 합하면 수만명이나 포용하고 있는 대규모 조직체이다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예컨대 로봇의 경우 노사분규의 회오리가 가라앉은 요즘 자동화열기가 일고 있어 그
수자
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이런 추세로 자동화가 진행된다고 할 때 우리나라에서도 '로봇살인'이나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가 발행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다. 자동변속장치를 갖춘 자동차도 늘어나고 ... ...
산학 협동으로 현장교육 중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것은 학교특성상 아무래도 공과대학으로서 교수진의
수자
도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1백9명에 달한다. 공과대학에는 △ 기계공학과 △ 조선 및 해양공학과 △ 산업공학과 △ 전기공학과 △ 전자 및 전산기공학과 △ 전자계산학과 △ 금속 및 재료공학과 △ 화학공학과 △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마련된 이 코드표준화는 한글의 경우 사용빈도가 높은 한글 2천3백50자, 특수문자 1백30자,
수자
30자, 한글낱자 52자로 돼 있다. 한자 코드의 경우 한자 4천8백88자, 여러 종류의 특수문자 8백30자, 앞으로 선정될 한자및 특수문자용의 정외구역 94자로 돼 있다. 코드표준화에따라 앞으로는 다른 종류의 ... ...
연산자의 다양한 사용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것은 반복되는 블럭의 처음 문으로 제어를 옮기는 것이다.(프로그램12)는 0에서 9까지
수자
를 출력하는 for루프에 break와 continue를 삽입해 놓은 것이다. 실행결과로부터 break와 continue의 의미를 곧바로 알수 있을 것이다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학생을 가르치고 있는 셈이어서 많은 강사가 동원되는 형편인데 대학원생이 늘어나면 그
수자
가 2백, 3백명이 될 위험성이 있다는 거지요. 아뭏든 기초과학분야의 시장은 앞으로 더욱 넓어질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읍니다.정-많은 기성세대가 "기초과학을 하다가는 밥굶는다"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 ...
영국-프랑스를 해저로 연결 20세기의 대역사 유로터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 다시말해 파낸 터널의 벽면에 콘그리트 조각 으로 만든 안받침을 부착해야 하는데 그
수자
가 무려 70만여개에 달한다.아뭏든 굴착작업은 유로터널공사의 하일라이트인 셈인데, 만에 하나 있을지도 모르는 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각종의 기계·전자장비 트랙작업 신호장비 등 실제와 똑같은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멸종,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잘려지고 있는 판인데 농어를 말리는데 또 잘려져야 할 판이다.여기에다 작은 고기들의
수자
가 줄어들자 말라리아가 과거보다 더욱 극성을 부리기 시작했다. 작은 고기들이 많이 있을때에는 모기의 알을 작은 고기들이 많이 먹어치웠는데 농어처럼 큰 고기는 이런것을 먹지 않는다. 따라서 모기가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않는 곳이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읍니다. 특히 중국 소련 같은데서는 환자
수자
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읍니다."우리나라도 공식 입원환자수가 연 8백~1천명 가량되고 이중 10% 정도가 사망한다는 것. 이는 기록 집계가 가능한 입원환자수만이고 그렇지 못한 경우까지 합치면 2~3천명 가량의 유행성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