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돋이
해뜨기
삼출
해도지
넘쳐흐름
d라이브러리
"
일출
"(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별이 나타났다.강지수·지구와 우주 분야 동상행성과 달의 박명 일주박명(twilight)은
일출
전이나 일몰 후 빛이 머물러 있는 상태다. 해가 뜨고 질 때 나타나는 이 어스름은 개와 늑대를 구분할 수 없는, 낮도 밤도 아닌 애매모호한 시간의 경계라는 의미에서 ‘개와 늑대의 시간’으로 불리기도 한다.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날 정 전임연구원의 스마트폰 앱을 확인하자 14일
일출
직후부터 오후 12시 7분까지 약 4시간 30분 동안 태양전지판 2개에서 총 373.65kW가 생산된 것으로 표시됐다. 만약 이 태양전지판을 가정에 설치한다면 월평균 전기사용량을 고려했을 때 총 7만208원을 절약할 수 ... ...
[QUIZ KING & KAIST] 새해
일출
원정대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2019년을 코앞에 둔 수지는 고민에 빠졌다. ‘어떻게 하면 2018년을 잘 마무리하고 2019년 수학문제연구회(수문연)가 힘찬 새출발을 할 수 있을까.’ 생각에 잠겨있던 수지는 무릎을 ‘탁’ 치며 일어나 “그래, 역시 새해에는 그거다!”라고 외치며 후배들을 모았다.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아름다운 진주구름을 자주 볼 수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진주구름은 일몰 직후 또는
일출
직전에만 볼 수 있습니다. 두께가 얇고 입자의 밀도가 낮은 데다(광학적 깊이가 얕음. 즉, 더 투명함) 높은 고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태양광선이 구름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낮 시간대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붉은 빛이 새어 나왔다. 여덟 명의 사람들이 칼바람에도 아랑곳없이 서 있었다.
일출
을 보는 것은 아니었다.가까이 다가가보니 항구에 서있는 어업인들이었다. 날씨 얘기가 한창이었다.“이렇게 바람불면 바다 나가도 (김을) 뜰 수가 없고. 별수 없제.”라고 김명규 충남 서천 김양식 협회장이 ... ...
꼭꼭 숨어 있는 사인곡선 찾기!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치우쳐 있어 우리가 알고 있는 사인 곡선과는 모양이 다릅니다. 그런데 각 일몰 시각에서
일출
시각을 빼서 낮의 길이를 구해보면 신기한 일이 벌어집니다. 바로 아름답게 대칭을 이루는 사인곡선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지요. 이것을 2014년과 2015년 두해에 걸쳐 살펴보면 약 1년을 주기로 그려지는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있습니다. 버간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아난다 파고다, 가장 오래됐다고 하는 부 퍼야,
일출
과 일몰로 유명한 쉐산도 파고다 등 수많은 사원이 있지만 저는 제일 먼저 쉐지곤 파고다로 향했습니다.‘황금모래 언덕의 파고다’라는 뜻의 쉐지곤 파고다는 커다란 황금 종 모양을 하고 있어요. 다른 ... ...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화성에서 보는 태양은 ‘지구의 태양’의 8분의 5 정도 크기고, 40% 어둡다. 내일 보는 첫
일출
은 어떨까. 화성에서 처음 맞을 아침을 기대하며, 이른 잠을 청했다 ... ...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수완나품 공항에서 300km 가량 떨어진 ‘카오 펭 마’에서 시작됐다. 흐린 날씨 탓에
일출
을 보지 못한 아쉬움도 잠시, 태국 현지의 문화와 전통을 체험하기 위해 아침 식사 후 곧바로 붓 싸이 마을로 향했다. 전통방식을 고수하며 문화를 유지하고 있는 마을 사람들은 주로 양배추나 케일 같은 갖가지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러시아에서 처음 개발했어요.우여곡절 끝에 솔이네 가족은 무사히 동해에 도착해서 멋진
일출
을 놓치지 않고 볼 수 있었지요. 눈을 치우는 기술이 이렇게 소중한 것인지 솜이는 처음 알았어요. 떠오르는 해를 보며 행복한 새해 맞게 해달라고 소원을 빌었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