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서
책
서적
저술
책자
단행본
작품
d라이브러리
"
저서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기원전 3세기 무렵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약했던 수학자다. 당시 그가 쓴
저서
은 오늘날까지 읽히는 역사상 가장 유명한 수학 교과서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이 에서 아주 간단하게 소수가 무한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에우클레이데스의 소수 무한성 정리 에우클레이데스의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는 독일 기상학자 알프레드 베게너가 1912년
저서
‘대륙의 기원’을 통해 처음 주장한 대륙 이동설의 시초가 된 땅입니다. 이후 대륙 이동설은 맨틀 대류설, 해양저확장설을 거쳐 판 구조론으로 발전했습니다. 판 구조론에 의하면 초대륙은 원시 지구의 ... ...
[과학사] 찰스 로버트 다윈의 세상에 나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각각 창조된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진화한 것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위대한
저서
라는 평가를 받아요. 1872년까지 총 6번에 걸쳐 수정, 보충된 은 지금까지도 생물학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답니다 ... ...
새만금 보물을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배수갑문을 통해 바닷물을 공급받아 유지되고 있어요. 조개나 게처럼 물 밑바닥에 사는
저서
생물은 물론, 40여 종이 넘는 멸종위기 동물들도 수라에 살고 있지요. 멸종위기 종 중 하나인 저어새는 수라 갯벌에서 매년 150마리 넘게 매년 관찰되고 있습니다. 수십 마리의 검은머리갈매기와 10만 마리에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저서
생물, 위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되는 등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래서 각국은 잘피 같은
저서
식물을 심고
저서
식물이 바닥에 잘 붙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위도와 경도는 지구상에서 특정한 국가나 지역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전 세계가 약속한 기준이에요. 둥근 구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있으면 전체 퍼즐을 완성할 수 없어요. 영국의 수학자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1877~1947)의
저서
에 수학에 관한 유명한 글이 있어요. 우리가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의 인생을 다 알지는 못하지만, 그 사람의 정리 혹은 증명이 지금도 남아있는 걸 보면 하디의 말처럼 어떤 ... ...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좋아하는 건 어쩌면 오래된 진화의 산물일지도 모릅니다. 존 앨런 신경문화인류학자는
저서
‘미각의 지배’에서 포유류의 오랜 먹이가 곤충이었고, 곤충이 바삭거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죠. 달콤하면서 바삭거리기도 하는 탕후루의 인기는 어쩌면 예견된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깨진 설탕은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23년 11호
작업까지 병행했어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4세기경)는
저서
에서 ‘제거’, ‘빼기’라는 뜻의 그리스어 ‘아파이레시스(aphairesis)’로 추상화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대상에서 감각적인 성질을 다 제거하고 오직 양만 남겨 추상화한 대상을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
수학동아
l
2023년 10호
양에 관심을 가졌어요. 그중에서도 이탈리아 수학자 보나벤투라 카발리에리(1598~1647)는
저서
에서 수학사에서 유명한 ‘카발리에리의 원리’를 소개합니다. 두 입체도형을 서로 평행하게 굉장히 작은 조각으로 자른다고 했을 때, 이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추측한 대로 들리기도 한다. 니나 크라우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신경생물학 교수가
저서
‘소리의 마음들’에서 비유한 것처럼, 청각 경로는 귀에서 뇌로 흘러가는 일방통행로보다는 여러 진입로와 교차로가 엮인 복잡한 도로 네트워크에 더 가깝다. 뇌파로 뇌에 흐르는 노래를 엿듣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