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소셜 미디어가 지구를 뜨겁게 만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데이터센터가 뿜는 열입니다. 24시간 쉬지 않고 방출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막대한 전기에너지가 쓰이고, 이는 탄소 배출로 이어져요. 국제에너지기구는 2022년 기준 데이터센터가 쓰는 전력이 전 세계 전력 소비량의 2%에 해당하는 460TWh(테라와트시)●에 달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챗GPT 등 ... ...
- [만화뉴스] 마스크가 감정변화를 알아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실시간으로 감정을 인식하는 마스크를 공개했어요. 연구팀은 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전기 센서로 마스크를 만들었습니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 근육 변화와 음성의 세기, 높낮이 등을 감지해요.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파악하죠. 마스크와 얼굴 사이에 ...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내가 그린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린다면?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5호
- 빛나는 자동차들이 눈앞에 나타났어요. 이지현 디자이너는 자신이 직접 디자인한 전기자동차 ‘아이오닉5’를 가리키며 어떤 점을 신경 썼는지,자동차를 만들 때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 설명했지요. “자동차 디자이너는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필요한 게 뭔지 잘 알아야 해요. 자동차를 만들 때 ... ...
- [통합과학 교과서] 불면증에 걸린 공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하지만 자는 중에도 우리 뇌는 쉬지 않습니다. 과학자들은 뇌의 활동을 나타내는 전기신호인 뇌파를 분석해 잠에도 단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첫 번째는 잠에 들기 전 꾸벅꾸벅 졸기 시작하는 단계예요. 눈꺼풀이 무거워져 눈이 감기고, 심장 박동과 호흡이 느려집니다. 주변에서 일어나는 ... ...
-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흐르는 유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여과 이론’과, 무작위로 형성된 배관이나 전기 저항을 설명하는 ‘랜덤 파이프 네트워크 이론’이다. 소금물이 빙하 속 빈 공간을 이동하는 현상이 마치 모양을 알 수 없는 복잡한 배관을 통과하는 것과 비슷해서다. 골든이 2007년에 만든 이 수식을 이용하면 ...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한다. 걷기 훈련을 한 후 디지털 브릿지를 끈 상태에서도 뇌에서 다리로 신경세포들의 전기 신호가 전달됨도 관찰했다.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척수 신경의 회복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다. 쿠르틴 교수는 보도자료에서 “기술이 상용화돼 사고 후 몇 주 내에 디지털 브릿지 수술을 할 수 ...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가 제안하는 것으로, 렌틸, 귀리, 현미, 백미를 혼합한 뒤 전기 찜솥에서 조리하면 혈당지수가 낮은 밥을 만들 수 있다는 논리에서 나왔다. 정 교수는 저서 ‘느리게 늙는 법’을 통해 혈당지수가 낮은 밥을 섭취하는 것은 노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설명한다. 여기서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수소와 산소가 나와요. 반대로 리튬의 화학구조를 변화시키면 전기가 발생하죠. 이때 전기라는 물리적 현상이 화학을 통해 설명돼요. 또 다른 예를 들어볼까요? 우리가 숨을 쉬면 포도당은 산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와 물, 그리고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것도 화학식으로 설명돼요. 화학이 물리, ... ...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위해 사적 모임과 다중 이용 시설 출입을 통제하는 등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했다. 전기 공학자 아리 네호라이를 주축으로 한 연구팀은 SEIR 모형을 확장한 코로나19 예측 모형을 개발해 합리적인 거리 두기 방법을 제안했다. 연구팀은 SEIR 모형에 사망한 그룹과 입원한 그룹을 추가해 총 6개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사물을 본다고 하자. 먼저 망막에 있는 시세포가 만든 전기 신호가 시신경을 통해 대뇌 뒤쪽의 시각피질로 흘러간다. 그러면 시각피질의 뉴런이 활동하면서 뇌파가 흐르며 정보를 교환하고, 우리가 눈으로 본 사물을 인식한다. 따라서 뇌파를 분석하면 뇌 활동을 ... ...
이전123456 다음